본문 바로가기

화면해설작가/단어설명

<단어 27> 사극에서 자주 사용하는 단어 (궁)

<임금>

곤룡포 - 임금이 시무복으로 입던 정복. 곤복 또는 용포라고도 한다.

면류관 - 왕의 정복인 구장복에 갖추어 쓴 예모 (옥으로 만든 를 든다)

구장복 - 왕위에 오를 때, 종묘제례, 정초의 하례식, 비를 맞을 때 등의 의식에 입은 왕의 대례복. 조선 후기 면복의 겉옷. 현색 바탕의 사에 앞단, 밑단, 소맷단에 흑사로 선을 두른 9장복으로 의에는 5개의 장문이 그려져 있다. 겉은 검은색 얇은 비단이고 안은 남색 비단으로 되어 있으며 소매가 넓다. 이 옷의 양 어깨 부분에는 용, 등 부분에는 산이 그려져 있으며 소매 끝에는 불꽃, 꿩, 술잔 등의 그림이 그려져 있다. 이 옷 위에 마름, 쌀, 도끼, 불이 그려져 있는 치마를 입었는데 이것을 폐슬(蔽膝)이라고 하였다. 이 옷은 위와 같은 9가지 그림이 있어서 구장복이라고 부른다. 이 예복을 입을 때는 머리에 면류관(冕旒冠)을 쓰고 손에 옥규(玉圭)를 들었으며 붉은색 신을 신었다.

흉배 - 조선시대 왕 ·왕세자 ·문무백관의 관복의 가슴과 등에 장식한 표장. 왕 ·왕세자의 평상복인 곤룡포에는 용문을 수놓은 흉배를 가슴 ·등 ·양어깨에 장식하였는데 이를 특히 ‘보’라고 한다. 오조룡 무늬

일산 - 황제, 황태자, 왕세자 들이 행차할 때 받치던 의장 양산. 자루가 길고 황색, 적색, 흑색의 비단으로 만들었다.
용상 - 임금이 앉는 평상. 용평상(龍平床)의 준말.
 - 왕이 거둥할 때 타고 다니던 가마.

어복 : 임금의 옷. 

어립 : 임금의 갓. 

어갑주 : 임금의 갑옷과 투구. 

어성 : 임금의 목소리. 

어온 : 임금에게 올리는 술. 

어환 : 임금의 병. 

어찰 : 임금의 편지. 

어좌/옥좌 : 임금이 앉는 자리. 

어소 : 임금이 있는 곳. 

어마 : 임금이 타는 말. 

어승차 : 임금이 타는 마차. 

 : 임금이 먹는 음식. 

어공 : 임금에게 물건을 바리는 것. 

어수/옥수 : 임금에게 올리는 우물물. 

어식 : 임금이 내리는 음식. 

용상 : 평상. 

수라 : 임금이 먹는 밥. (수라간, 수라상). 

용안/어안/옥안/천안/성안 : 임금의 얼굴 

굳이 임금과 관련된 말이 아니라도 주로 한자어를 사용해서 부르곤 했다. 귀는 ‘이부(耳部)’였고, 입은 ‘구중(口中)’, 입술은 ‘구순(口脣)’, 눈동자는 ‘안정’, 이마는 ‘액상’, 손가락은 ‘수지’, 발바닥은 ‘족장’, 눈물은 ‘안수’, 콧물은 ‘비수’, 여성의 월경은 ‘환경(環經)’, 버선은 ‘족건’, 낮잠은 ‘가매’, 숭늉은 ‘’, 마늘은 ‘대산’, 달걀은 ‘계단’, 고추는 ‘번초’, 쇠고기는 ‘황육’, 꿩은 ‘적계’나 ‘산계’였다.
 
왕 : 대전마다이거나 상감마마.
왕대비(선왕의 살아 있는 아내) : 대비마마, 자전마마, 웃전마마.
왕비 : 중전마마이거나 곤전마마, 내전마마.
세자 : 동궁마마, 세자마마, 동마마.
세자빈 : 빈궁마마, 세자빈마마.
 

매화틀 - 조선시대에 임금이나 왕족들이 사용하던 휴대용 변기

교지- 국왕이 신하에게 관직·관작·자격·시호·토지·노비 등을 내려주는 문서.
굽어보다
장계 - 조선시대 관찰사·병사·수사 등 왕명을 받고 외방에 나가 있는 신하가 자기 관하의 중요한 일을 왕에게 보고하거나 청하는 문서.
옥좌 - 궁궐의 편전과 정전의 중앙에 위치한 어좌는 왕이 앉아 백관의 하례를 받고 조회를 행하며 집무를 하는 좌석으로 옥좌 또는 보좌라고 한다. 
독대 - 조정의 관리가 혼자서 임금을 만나 정사(政事)에 관한 의견을 직접 아뢰거나 경전(經典) 따위를 강론(講論)하던 일.
어사화 - 조선시대 문무과에 급제한 사람에게 임금이 하사하던 종이꽃.

어진 - 왕의 초상
어패 - 임금을 상징하는 ‘殿’ 자를 새겨 각 고을의 객사(客舍)에 세운 나무패

익선관 - 왕과 왕세자가 곤룡포를 입고 집무할 때에 쓰던 관. 앞 꼭대기에 턱이 져서 앞이 낮고 뒤가 높은데, 뒤에는 두 개의 뿔을 날개처럼 달았으며 검은빛의 사(紗) 또는 나(羅)로 둘렀다.

어용, 용안 - 임금의 얼굴
모전 - 짐승의 털로 색을 맞추고 무늬를 놓아 두툼하게 짠 부드러운 요.
족좌대 - 발 받침대
승하 
어가 행렬
 

왕(왼쪽)이 든 것은규, 신하(오른쪽)가 든 것은 홀

 
황제- 관, 지위를 상징하는 둥근 보주, 

 
권력을 뜻하는 지휘봉 왕홀,

 
강대한 힘을 상징하는 의장검
 

<궁궐/대궐>

편전 - 임금의 일상적 집무시설
추국장 - 조선시대 임금이 친히 중죄인을 국문하던 일
정전 - 임금이 왕세자, 척신 사신 등으로부터 조하를 받는 장소. 국가 및 왕실 행사를 하던 의례용 건물)
어전/어전 회의
수라/수라간/수라상
관청
궐내각사 - 약 200칸의 행각과 전각들.
빈청 - 조선시대 궁궐내에 설치한 고관들의 회의실.
서고 - 도서를 보존하기 위한 방이나 건물
어가 - 대궐로 통하는 길. 대궐 안의 길. 임금이 타던 수레. (어가꾼)
단청 - 단청은 청·적·황·백·흑색의 다섯 가지 색을 기본으로 사용하여 목조 건축물에 여러 가지 무늬와 그림을 그려놓은 것. 기둥은 갈색, 처마와 포 부분에 녹색. 단청이 없는 전각은 백골집.

궁장 - 궁궐의 담장

신주 - 죽은 사람의 이름과 죽은 날짜를 적은 나무패. 사당에 모셔진 위패.

어전 - 임금이 있는 궁전. 임금의 앞.
침전 - 임금의 침방(寢房)이 있는 전각.

침방 - 침실
행각, 회랑 - 양옆으로 줄기둥이 늘어선 복도. 천장이 있고 뚫려 있는 복도 같은 통로.

복도각 - 높은 주춧돌 위에 두 공간을 연결하는 구조물
전각, 객사
궐내

박석 - 궁의 마당에 깔리는 화강암 돌

건물의 아래를 받치고 있는 월대, 땅과 건물의 기둥을 연결하는 초석
기와, 처마, 추녀,단청, 꽃살무늬 창, 석수
빙렬무늬 장식벽(아궁이를 가리는 용도, 얼음이 쪼개진 무늬)
십이지신상
사슴과 말을 닮은 천록

불가사리 - 곰의 목에 코끼리의 코, 물소의 눈과 소의 꼬리, 호랑이의 다리를 가진 동물

잡상 - 추녀마루 위에 놓이는 와제 토우들인 장식기와의 하나. 10신상(神像)을 일러 잡상이라 하는데 이는 소설 ≪서유기 西遊記≫에 나오는 인물 및 토신(土神)을 형상화하여 벌여놓아 살(煞)을 막기 위함이라 한다. 가장 앞쪽의 말을 탄 도인상(道人像)을 선인상(仙人像)이라 하고 뒤에 오는 그 밖의 상들을 주수(走獸) 또는 수수(垂獸)·평수(平獸) 등으로 쓰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선인상 외에 주수상 10상이 나타나 있는데, ① 용(龍), ② 봉(鳳), ③ 사자(獅子), ④ 기린(麒麟), ⑤ 천마(天馬), ⑥ 해마(海馬), ⑦ 고기[魚], ⑧ 해치[獬], ⑨ 후(吼), ⑩ 원숭이[猴] 상으로 선인상과 합하면 11상이 된다.

귀면 - 귀신 또는 도깨비의 얼굴을 무늬화한 것

궁의 나무들 - 회화나무, 수양버들, 향나무
취병 - 대나무로 틀을 세우고 그 사이로 관목이나 덩굴식물, 혹은 꽃을 심었던 전동 담장이자 울타리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