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어 5> 탈 것들 (자동차/탱크/건설 중기/트럭/공사/헬리콥터/배)
승용차
세단(좌): 지붕이 있는 차, 4도어, 트렁크 실내와 이어지지 않고 따로 있는 차. cf) 쿠페: 동일 조건 하에 2도어. 디자인이 날렵하면서 차체가 낮다. 스포츠카.
왜건(중): 세단을 기본으로 트렁트를 늘려 실내와 연결, 짐을 많이 싣을 수 있게 한 차. 세단과 달리 트렁크를 열 때 유리창까지 통째로 연결되어 열린다.
해치백(우): SUV/RV처럼 5도어 트렁크가 실내와 이어지는 차. 준중형차.



컨버터블: 지붕이 없거나 접었다 펴는 차. 오픈카.
승합차: 11인승 이상되는 차. 봉고차. 소형밴.

자동차 내부 구조




① 오버헤드콘솔: 룸미러 앞. 조명장치가 달려 있으며 눌러서 열면 선글라스나 안경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나온다.
② 선바이저: 빛을 막아 눈부심 방지. 보통 선바이저를 내리면 안에 작은 거울이 장착되어 있다.
③ 글로브박스: 조수석에 앉은 사람의 무릎 높이쯤에 위치한 수납공간.
④ 센터페시아: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이 앞부분에 오디오와 에어컨 등 각종 버튼이 모여있는 공간.
⑤ 대시보드: 운전석 앞쪽에 있는 계기판과 센터페시아, 글로브박스를 포함한 총칭.
⑥ 도어트림: 차 문 안쪽. 작은 수납공간과 창문을 여닫는 버튼 등이 있다.
⑦ 도어포켓: 도어트림에 있는 작은 수납공간.
⑧ 콘솔박스(센터콘솔): 운전석과 조수석 의자 사이에 위치한 박스. 각종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
⑨ 풋레스트: 운전석에만 있는 발받이 공간. 주행 중 사용하지 않는 왼발을 이곳에 두어 몸을 균형감 있게 지탱한다.
방향 지시등: 차량의 방향을 바꿀 때나 다른 차량에게 일시적 위험 상태임을 신호하기 위해 단속적으로 빛을 내는 발광 장치
제동등: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때, 뒤따르는 차량에게 경고하기 위해 자동으로 켜지는 등.
번호등: 어두울 때, 차량의 번호판을 잘 볼 수 있도록 비춰 주는 조명 장치.
측방등: 차량 폭의 경계를 표시하는 색깔이 있는 등.
후미등: 전조등을 켜면 자동적으로 켜지는 등. 최대 150m까지 떨어진 차량을 볼 수 있다.
후진등: 운전자가 자동차를 후진할 때,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경고하기 위해 자동으로 켜지는 백색 등.
제동등: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때, 뒤따르는 자동차에 경고하기 위해 자동으로 켜지는 등.
경고등: 차량의 다양한 장치들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아닌지를 나타내기 위해 깜박거리는 작은 등.
상향등 표시등: 상향등이 켜져 있다는 것을 알려 주는 등.
배터리 경고등: 배터리 충전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려 주는 경고등.
엔진 오일 경고등: 엔진오일의 수준이 최저 수준보다 낮다는 것을 알려 주는 경고등.
방향전환 지시등: 때로는 소리가 동반하며 단속적으로 켜지는 등. 방향지시등이 사용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연료 부족 경고등: 연료 탱크가 거의 비었다는 것을 알려 주는 경고등.
연료계: 연료 탱크의 부표와 연관된 바늘이 있는 눈금판. 남아 있는 연료의 양을 나타낸다.
냉각수 온도계: 엔진 냉각수의 온도를 나타내는 눈금판.
문 열림 경고등: 한 개 이상의 문이나 들어 올려지는 뒷문 또는 트렁크가 열려 있거나 약간 열려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경고등.
주행 기록계: 차량이 공장에서 출고된 후 총 주행거리를 킬로미터나 마일 단위로 측정하는 장치.
주행 거리계: 차량이 부분적으로 주행한 거리를 킬로미터나 마일 단위로 측정하는 장치. 0으로 다시 맞출 수 있다.
속도계: 차량이 움직이고 있는 속도를 시간당 킬로미터나 마일 단위로 보여 주는 눈금판.
안전띠 경고등: 한 개 이상의 안전벨트가 채워지지 않았거나 올바로 잠기지 않았다는 것을 알려 주는 경고등.
회전 속도계/태코미터: 엔진의 회전 속도를 분당 회전수로 나타내는 눈금판.
대테러(전술)차량
대테러 특수부대 : 자국, 자국민과 관련된 테러 상황에서의 임무 수행. 테러리스트를 제압하고 인질을 구출한다. UDT/SEAL(해군 특수전전단), 제707특수임무대대
cf) 경찰 대테러부대 : 시민보호, 인질을 구출한 후에 테러리스트를 제압한다. 무력화가 목적. 경찰특공대. 특수기동대 SWAT. KNP868 경찰특공대
cf) SAT(Special Assault Team): 일본 경시청 특별급습팀
전차(=탱크) : 보병. 방어력. 전진용
자주포 : 움직이는 화포
전투차 : 보병 전투용. 기관포/박격포 등 주무장
장갑차 : 보병 수송용. 의료/운반/비상 차량
방탄차량 : 15mm 방탄유리. 차체는 특수강, 알루미늄, 티탄, 세라믹 등으로 이루어져 차 밑에서 폭탄, 수류탄, 로켓포가 터져도 탑승자의 생명을 지킬 수 있다. 도어의 두께는 20cm 이상으로 보잉 757 조종석 문과 같다. 범퍼에는 야간 투시카메라가 달려 헤드라이트 없어도 야간 주행이 가능. 타이어는 대전차 지뢰도 견딜 수 있다. 화생방 테러에 대비해 산소 공급 시스템, 진화 장치도 구비돼 있다. 야간 투시경이 달린 샷건과 최루탄 발사기도 있다. 다쳤을 경우를 대비해 수혈용 혈액도 보관한다.
군용짚차(지프차)
건설 중기
굴착기(포클레인,굴삭기), 크레인/타워크레인(기중기)
스크레이퍼, 불도저, 레미콘
덤프트럭, 콘크리트 펌프카, 아스팔트 살포기
지게차, 롤러 다짐차, 골재살포기
공기압축기, 천공기, 탑차(지붕이나 뚜껑이 있는 화물차. 냉동탑차. 1톤탑차)
트럭 : 대형트럭, 중형트럭, 소형트럭(봉고트럭), 경형트럭, 픽업트럭(레저용), 화물트럭
트럭
공사
1. 기초공사
터파기 후 버림콘크리트 타설→기초 형틀작업→철근배 (거푸집을 설치하면서 바닥배수 배관. 바닥에 보이는 하얀 비닐깔고, 그 위로 철근배근)
2. 골조공사
→ 콘크리트 타설(그 전에전기 배관) → (골조공사 시작) 벽체 먹줄 놓기(먹선긋기) → 기둥 철근배근
→ 기둥 및 상부보 형틀조립 → 보(기둥 위에 얹는 것) 인양 및 체결 → 슬라브 단열재 시공 (이렇게 반복하면 골조공사 완성)
* 거푸집(통상 3~4회 사용)은 후에 제거하는데, 콘크리트 타설 시 거푸집 터지지 말라고 핀으로 채워 넣는다. 거푸집 제거하면 회색빛 콘크리트에 올록 볼록 튀어나와 있는 것이 바로 그 핀(폼타이). 핀도 제거한다.
* 외부 공사 완료 후 비계파이프(와시바) 해체
3. 단열재 공사/ 방통 공사
창호공사(흔들림 없이 밑작업해주는 사춤작업) → 설비배관 작업 → 방통공사(난방, 배관 시공하고 그 위에 시멘트 모르타르(반죽) 부어서 방바닥을 만드는 미장공사) 표시된 공간 벽돌 쌓기 → 외부 단열재 공사
4. 내장 목공사
욕실 액체방수 공사 → 천장 및 벽체 내장 목공사 → 타일 공사 → 바닥 공사 → 도배 공사 → 옥상 우레탄 시공 → 각종 부속공사(전기, 정화조, 설비, 보일러, 조명, 계단실 등등) → 강화마루 깔기, 외부 주차장 등 마무리
헬리콥터
반토크 꼬리 로터: 가로축에 붙은 회전자. 주요 회전자의 영향으로 헬리콥터가 회전하지 않게 한다.
꼬리안정판: 테일 붐에 고정되어 헬리콥터를 똑바로 날게 해주는 세로 부분.
위치등: 헬리콥터의 존재를 알리는, 멀리서도 보이는 등.
배기관: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개구부.
로터 허브/돌날개 허브: 구동축과 날개깃을 연결하는 회전 날개 머리의 중심 부분.
구동축: 엔진에 의해 작동되며 회전운동을 중심으로 전달하는 부분.
슬리브: 날개깃이 붙어 있는 중심 부분.
회전 날개깃: 각도에 따라서 헬리콥터에 양력과 추력을 내는 주요 회전자의 긴 유선형 부분.
회전 날개 머리: 필요한 힘과 각도를 전달하는 회전 장치.
조종실: 운항 및 제어 장비가 들어 있는 칸. 조종사가 여기서 헬리콥터를 조종한다.
안테나: 관제탑이나 다른 항공기와 교신하기 위한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조종간: 회전자의 기울기를 바꿀 때 쓰는 레버. 헬리콥터의 방향을 조종할 때 사용한다.
랜딩 윈도: 조종사의 발 옆으로 난 창. 착륙할 때 이 창을 통해 지면을 본다.
착륙등: 야간 착륙시에 지면을 비추는 집중 조명.
스키드: 헬리콥터가 착륙할 때 놓이는 관.
탑승 계단: 헬리콥터에 탈 수 있도록 동체에 붙어 있는 계단.
객실: 탑승객이 타는 칸.
연료 탱크: 헬리콥터의 연료통.
공기 흡입구: 헬리콥터의 엔진으로 공기가 들어가는 개구부.
화물실: 화물을 보관하는 칸.
테일 붐/꼬리부리: 프로펠러 축이 들어 있는 헬리콥터 테두리의 긴 부분. 뒤쪽 회전자와 꼬리안정판을 지지한다.
수평안정판: 테일 붐에 달린 수평날개. 헬리콥터의 수평운동을 안정화한다.
테일 스키드/꼬리 스키드: 테일 붐의 끝에 부착된 지지대. 기수를 올린 채 착륙하는 경우에 테일 붐과 반토크 꼬리 로터를 보호한다.
배
거룻배 - 돛이 없는 작은 배.
고기잡이배/ 고깃배/ 어로선/ 어선 - 고기잡이를 하는 배 cf. 그물배/ 어망선 - 그물을 가지고 물고기를 잡는 배
고무배/ 고무보트
구유배 - 통나무를 파서 구유처럼 만든 자그마한 배
기범선 - 동력 기관과 돛을 함께 갖춘 비교적 작은 배
기선/ 증기선/ 화륜선 - 증기 기관의 동력으로 움직이는 배를 통틀어 이르는 말
기중기선 - 기중기를 장치하여 무거운 물건을 운반하는 데 쓰는 부력이 큰 배. 항만 공사를 하거나 조선소에서 배를 의장하거나 손질할 때 쓴다.
꽃배 - 꽃이나 여러 가지 장식으로 곱게 꾸민 배
나룻배/ 도선/ 진선/ 진항 - 나루와 나루 사이를 오가며 사람이나 짐 따위를 실어 나르는 작은 배.
나무배/ 목조선
낚싯배/ 어선/ 조선 - 낚시로 고기잡이하는 데 쓰는 배
놀잇배/ 유선 - 뱃놀이를 할 때 타는 배
대동배 - 조선 시대에 대동미를 운반하던 관아의 배
도선배 - 주로 항구 안에서 출입하는 선박을 안전한 수로로 인도하는 배
돛단배/ 범선 - 돛을 단 배. 돛에 바람을 받게 하여 풍력을 이용 진행하는 배. 단순한 돛을 가진 작은 범선은 돛단배 또는 돛배라고 한다.
cf. 늘배/ 돛단배 - 예전에 강에서 짐을 나르던 데 쓰던 돛단배
딸림배/ 바지선 - 함대나 선단에서 주장이 되는 배에 딸려 같은 임무를 띠고 가까이 있는 배. 항만 내부나 하구 등 비교적 짧은 거리에서 화물을 수송하는, 동력장치가 없는 거룻배를 말한다. 부두에서 본선까지 화물을 나르거나 반대로 본선에서 부두까지 화물을 실어 나르는 역할을 한다. 동력장치가 없기 때문에 여러 척의 예인선에 의해 끌려 다닌다.
떼배 - 뗏목처럼 통나무를 엮어 만든 배
마상이/ 통나무배/ 통목선 - 거룻배처럼 노를 젓는 작은 배, 통나무를 파서 만든 작은 배.
보트 차양.
모터보트/ 기동선/ 동력선/ 기선 - 내연 기관의 모터를 추진기로 사용하는 보트
뾰족배 - 앞뒤의 모양이 날카롭게 생긴 배. 배젓기 경기에 쓴다.
삼대선 - 돛대를 세 개 세운 배
삿대배 - 배를 물가에서 떼거나 물가로 댈 때, 또는 물이 얕은 곳에서 깊은 곳으로 밀어갈 때 쓰는 긴 막대를 사용하는 배.
상고선/ 장삿배 - 장사할 물건을 싣고 다니는 그리 크지 아니한 배
선박 - 길이가 짧은 소형선은 주, 정, 단정 등으로 부르고, 그보다 큰 것은 배, 선박이라고 부른다.
수조선 - 다른 배에 공급하기 위하여 물을 싣고 다니는 배
스컬 - 좌우의 노를 한 사람이 젓는 가벼운 보트 경주. 또는 그 보트.
에이츠 - 노가 8개 있는 보트의 경주
쌍동선/ 쌍동배 - 두 개의 선체를 갑판 위에서 결합한 배. 두 배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있기 때문에 갑판의 폭을 선체의 길이에 비해 넓게 할 수 있다.
여객선 - 여객을 태워 나르기 위한 배
예인선/ 끌배/ 예선. 터그보트 - 강력한 기관을 가지고 다른 배를 끌고 가는 배.
요트 - 유람, 항해, 경주 따위에 쓰는 속도가 빠른 서양식의 작은 배
유람선 - 구경하는 손님을 태우고 다니는 배
유조선 - 유조 시설을 갖추고 석유를 운반하는 배
집배 - 지붕 모양의 덮개를 갖춘 배
카누 - 노로 젓는 작은 배. 나무껍질이나 동물의 가죽, 갈대 또는 통나무 따위로 만든다. 최초의 선박으로 세계의 여러 민족이 만들어 이용하였다.
카페리/ 페리 - 여객을 태우거나 자동차를 실어 운반하는 배
통통배 - 발동기를 장치하여 통통 소리가 나는 작은 배
포경선/ 고래잡이배 - 고래를 잡기 위하여 특별한 설비를 갖춘 배
함선 - 군함(군사용 배), 선박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함정 - 크고 작은 군함을 총칭할 때.
화물선 - 화물의 운송을 목적으로 하는 선박, 또는 12명 이하의 여객이 탑승할 수 있는 선박
닻걸이 - 물 밑에 닻을 내리는 일
닻낚시 - 배를 고정하여 놓고 배에서 하는 낚시질
닻장 - 닻채(닻의 자루가 되는 부분) 위에 닻줄을 매도록 가로 박은 나무나 쇠막대기.
닻줄 - 닻을 매다는 줄. 밧줄이나 쇠줄로 되어 있다.
돛자락 - 돛의 늘어진 부분
돛줄임줄 - 돛을 올렸다 접어내렸다 하는 줄
선로/ 선미/ 뱃고물/ 꽁지부리/ 고물 - 배의 뒷부분
조타실 - 배의 키를 조종하는 장치가 있는 방
함교 - 함장이 항해 중에 함을 조종, 지휘하기 위하여 갑판 맨 앞 한가운데에 높게 만든 갑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