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면해설작가/단어설명

<단어 22> 무대 일반 예술 용어

국립중앙극장 2009년 발간.

 

 

 

!, ! go!

3단계 큐의 실행 단계.

 

가변형 무대 flexible stage

작품의 요구에 따라 무대와 객석의 배치를 재조정함으로써 시각선을 변화시켜 무대 양식을 변형시킬 수 있는 무대. 프로시니엄 아치를 제거하여 관객과 배우를 더욱 친근하게 만들고자 했던 시도가 많은 실험을 거쳐 원형무대, 돌출무대 및 프로시니엄 무대로 쓸 수 있는 가변형 무대를 탄생시켰다.

 

가설무대 temporary stage, construction stage

1) 일반적으로는 가설공연장과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 야외 공연 시 임시로 설치하는 간이 무대를 말한다.

2) 무대 안에서 주무대(main stage) 크기로 다음 공연의 장치 조립을 할 수 있는 무대. 주무대 기능이 가능하다.

3) 대형 오페라 극장에 있는 무대 기계 시스템. 단일 장치의 오페라 무대일 경우, 장치를 설치하면서 연습(rehearsal)이 가능한 무대를 말하기도 한다.

4) 가설 바닥에 끼워진 트랙을 따라 가설 바닥과 원래의 무대 바닥 사이의 얕은 공간(5cm 또는 8cm, 2in 또는 3in)으로 지나가는 철선에 의해 웨건이 움직일 수 있게끔 설치된 특수 무대 바닥. 영어로는 false stage라 한다.

 

가발사 perruquier

가발 제작 및 손질 전문가.

 

가발수 wig dresser

연기자에게 가발을 씌우고 손질하는 사람.

 

가발 제작 wig making

의상 디자인을 토대로 가발 혹은 수염 등을 제작하는 것.

 

가발 제작원 wigmaker

공연에 맞는 가짜 두발을 만들고 준비하는 사람.

 

가사 지도 diction coach

외국어로 공연할 때, 정확한 발음과 대사 또는 가사를 관객에게 정확히 전달하기 위해 배우를 지도하는 사람.

 

가설공연장 temporary theatre

단기간의 공연을 목적으로 설치한 가설 형태의 공연장.

 

가족석 family room

유아를 동반한 보호자가 함께 공연을 관람할 수 있도록 제공된 방. 별도의 방음시설을 갖추어 유아로 인한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지 않고, 무대의 음향은 내부의 음향시설을 통해 들을 수 있으며 무대는 유리창을 통해 볼 수 있도록 만든 공간. 주로 객석 뒤쪽에 설치한다.

 

원형이나 돌출된 무대 형태가 일반적인 개방무대라고 볼 수 있다.

 

각색 dramatization, adapt

소설이나 서사시 등을 희곡이나 시나리오로 고쳐 쓰는 일.

 

간이 분장실 quick change booth, quick change room

공연 중 출연자가 빠른 시간 안에 의상이나 분장을 바꾸고 무대에 재등장할 때 사용하기 위하여 무대 뒤 또는 측면에 임시로 마련한 간이 분장 공간.

 

강조 emphasis

희곡이나 연출가의 의도에 의해 무대 위의 공간, 설치물, 등장인물 등을 조명이나 의상, 그리고 장치를 이용해 강조하는 것.

 

개방형 무대, 열린무대 open stage

일반적인 프로시니엄 무대는 객석과 무대가 프로시니엄이라는 구조물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데, 이와는 반대로 관객 공간과 무대가 건축적으로 분리되지 않고 같은 공간에 있는 무대를 개방무대라 한다.

 

개인 분장실 private dressing room

주연 배우나 특정 출연자의 분장을 위해 별도로 마련된 공간.

 

개인 연습실 private rehearsal room

단원들이 개인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마련된 공간.

 

객석 점유율

공연장의 전체 좌석 수(가용 좌석 수) 대비 실제 입장한 관객 수를 백분율로 계산한 것.

 

객석감독, 하우스 매니저 house manager, customer manager

관객이 공연장에 입장하고 퇴장할 때까지 관객들의 안전과 공연 감상의 원활한 진행을 담당하고, 총괄 지휘하는 사람.

 

객석 공간, 객석 auditorium

관객이 공연을 관람하기 위해 앉아서 보는 좌석 혹은 좌석이 있는 공간.

 

객석 안내원 usher

공연장의 원활한 공연 진행을 돕고 관객 안내를 담당하는 사람. 일반적으로 객석 구역에서 좌석을 안내하고, 객석 바깥에서 팜플릿 등을 팔거나 나눠주는 역할을 한다. 극장 직원일 수도 있고, 자원봉사자인 경우도 많다.

 

객석 통로 aisle

객석 내의 통로. 통로 사이의 좌석 수와 통로의 간격은 따로 정해진다.

 

건물, 구내 premises

어떤 건축물과 그것의 울타리에 의해서 경계가 정해지는 인접한 토지, 텐트, 이동식 또는 임시 구조물이나 시설, 작업장과 같은 장소. 좁은 의미로 사용될 경우에는 통로나 특정 구역 등을 말하며, 넓은 의미로는 공연장 전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영국식 영어에서 주로 사용되는 용어이며, 영국 자료에서 이 용어를 번역할 경우 앞뒤 맥락을 충분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경보 오동작 false alarm

대개 화재 경고 시스템에서 발생하지만, 화재 이외의 원인에 의해 동작되는 화재 신호.

 

곁무대 wings, wing stage

주무대(main stage)와 측무대(side stage) 사이에 다리막으로 가려진 공간. 배우나 장면, 장치 등이 무대로 들어가기 직전에 출연 장치를 준비하거나 출연자들의 대기 장소로 활용하며 간이 탈의 공간이나 배경 등의 조정 공간으로도 활용된다. 곁무대의 너비는 일반적으로 약 2m 정도를 고려하며, 주무대 좌우측의 거리가 같도록 한다. 깊이는 주무대의 깊이와 같거나 더 깊게 설계하여 배우나 작업자의 동선이 뒷무대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한다.

 

공연 performance

음악, 무용, 연극, 연예, 국악, 곡예 등 예술적 관람물을 실연에 의하여 공중에게 관람하도록 하는 행위. , 상품 판매 또는 선전에 부수한 공연은 제외한다.

 

공연 30분 전 half-hour call

무대감독이 공연 시작 30분 전 인터폰으로 분장실에 있는 배우들에게 알려주는 신호. 이때 이후로 개막 때까지 35분이 주어지게 된다. (또한 그후에도‘ quarter’ (15분 전 콜), ‘five’ (5분전 콜), ‘beginners’ (개막 콜)이 있다.)

 

공연 스태프 performance staff

공연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문 인력. 일반적으로 공연에 참여하는 사람들 중에서 배우나 관객을 제외한 대부분의 사람들을 스태프라 한다.

 

공연 제작 회의 production meeting

제작자, 연출가를 비롯하여 무대장치, 무대의상, 조명, 음향, 소품 등의 디자이너들이 참석하여 공연을 위한 중심 개념 및 제반 사항을 논의하는 회의. 공연 제작 회의는 마스터플랜에 따라 정기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무대감독이 이 회의에 참석하는 것이 상례이다.

 

공연 첫날, 개막일 opening night, first night

공연을 시작하는 날. 첫 공연이 대개 저녁 공연이므로 영어에서는 나이트(night)를 쓴다.

 

공연 구역 entertainment area

공연장에서 무대나 객석을 포함하여 공연에 사용할 목적으로 만든 구역.

 

공연 높이로 to trim

공연높이(trim height)로 장치봉이나 조명봉을 내려 달라는 말.

 

공연자 사무실 production office

공연자들의 공연 업무 처리를 위한 사무 공간.

 

공연자 출입구 stage door

공연 관계자가 사용하는 무대 뒤 출입구. 공연 연습 중이거나 공연 중에는 안전을 위하여 공연 관계자 이외에는 통제된다.

 

공연장 theatre

공연을 주된 목적으로 설치하여 운영하는 시설 또는 건축물. 우리나라 공연법에서는 공연장을 연 90일 이상 또는 계속해서 30일 이상 공연에 제공할 목적으로 설치하여 운영하는 시설로 범위를 정하고 있다. 영구적으로나 일시적으로 건설된 것들을 모두 포함하며 선박 등에 있는 공연장도 포함한다.

 

공연 준비 목록 plot

공연에 필요한 준비 사항과 활동에 대한 목록. 무대의 각 담당부에서는 그 부의 일원들이 요구하는 대로 목록을 준비한다.

 

공연 시간 all material times

공연장이 공연을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동안. 스태프와 배우의 안전을 위하여 공연을 진행하고 있는 동안을 공연 시간으로 간주한다.

 

공연 진행 시간표 time sheet

공연할 작품의 각 막과 장, 그리고 장치 전환에 소요되는 시간 등을 정확하게 기록해 놓은 표. 무대감독에 의해 작성되며, 시간표에 따라 연출가와 무대감독은 공연 시간을 조절한다.

 

공조실 ventilation room

공연장 건물 전체의 공기조화 설비를 갖추고 이에 대한 유지, 보수, 관리가 가능한 공간.

 

관객 audience

연극 등의 공연물을 관람하는 사람. 희곡·배우·극장과 함께 연극 성립에 있어 없어서는 안 될 요소이다. 관객은 무대에서 연기하는 배우에 적극 협력하여 연극을 만들어내는 창조자이며, 동시에 감상자가 되기도 한다.

 

관객 공간 front of house

공연장에서 로비, 통로, 객석 등 공연을 관람하는 관객이 이용하거나 접하는 공간. 관객이 사용할 수 있도록 지정한 특정 혹은 모든 구역을 표현하기 위해 공연장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말하며 관객 공간의 조명브리지는 객석 상부에 있지만 관객의 접근을 허용하지 않는다.

 

관객 입장 auditorium open

공연 시작 30분 전 관객 입장을 알리기 위하여 객석 문을 개방하는 것. (first bell)을 울려 입장을 알린다.

 

관객 출입구 entrance, exit

관객이 객석과 로비를 드나들 수 있도록 만든 문.

 

교향악단 orchestra, Orch.

교향악을 연주하는 대규모의 관현악단. 현악기와 관악기, 때로는 건반 악기까지 함께 지휘자를 중심으로 연주하는 형태이다. 교향악단의 종류로는 관현악(풀 오케스트라), 실내 관현악, 현악 합주, 재즈 오케스트라 등이 있다. 오케스트라라고도 하는데, 원형으로 된 연기공간을 가르키는 용어였다. 오늘날에는 교향악단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구성무대 composition stage

희곡의 장면 설정을 그대로 무대에서 표현하는 데 제약이 따를 경우, 희곡의 설정을 바꾸지 않고 장치의 개념을 바꾸어 표현하는 무대. 형식에 구애되지 않고 관객들에게 자유로운 상상력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장치를 구성한다. 구성무대가 기능적으로 활용되면 극의 진행과 주제 전달이 쉬워지는 반면에 배우의 표현력이 필요하게 된다. 간소화된 무대에서 배우는 무대가 갖는 넓은 범위의 리얼리티(reality)를 감당하게 되는데, 전체의 균형이 잘 맞는 구성무대는 깊은 감명을 주기도 한다.

 

구조 요소 elements of structure

무대 장치에서 외벽, 칸막이벽, (beam), 기둥, 바닥, 갤러리 등을 포함하여 장치 등의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

 

구획 짓기 marking out

배경에 대한 계획도를 보여주기 위해 리허설시 바닥에 테이프를 붙이는 것.

 

국악당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hall

한국 전통 국악을 전문으로 연주하고 감상할수있도록 설계된 공연장.

 

그랜드 피아노 grand piano

스타인웨이(Steinway)나 뵈젠도르퍼(Bssendorfer)와 같은 풀 사이즈의 연주용 피아노.

 

그리드까지 to grid

장치봉이나 조명봉을 그리드까지 올려 달라는 말.

 

극단 company

연극 공연을 목적으로 결성된 집단. 연극은 여러 예술적 요소를 포함하는 일종의 종합 예술이기 때문에, 연극을 창조하는 데는 각 예술 분야를 담당하는 여러 사람들의 협력이 필요하다. 이런 경우, 이들 협력자가 연극에 대하여 같은 의견을 가지고, 일정한 방침에 따라 지속적으로 집단활동을 하기 위하여 결집한다면 그 조직이 곧 극단이다.

 

극단 감독 company director

공연 단원을 감독하는 사람.

 

극작가 dramatist, playwright, dramaturge

예술 작품의 각본을 쓰는 사람. 공연 작품의 내용을 창작하거나 각색하며, 작품의 내용에 따라 공연을 전개하는 데 필요한 대사나 동작 등을 구상하는 사람. 상설극단에서 문학적인 조언을 하고 레퍼토리 선정에 도움을 주며, 연출가와 협력하여 작품을 선정하고 희곡을 각색하기도 하는 사람.

 

극장 threatre

연극, 음악, 무용 등을 공연하기 위해 무대와 객석을 설치해 놓은 공연장. 일반적으로 공연장이라고 부르지만, 특별히 연극을 전문으로 공연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공연장을극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기동성 장애자 people with impaired mobility

휠체어 사용자 및 보행 보조기구를 이용하는 사람(지체 장애인). 허약자, 맹인, 심각한 시각 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은 물론 일시적으로 보행이 곤란한 사람과 같은 장애인들을 말한다.

 

기술감독 technical director, T.D.

공연 제작에 필요한 모든 기술적 양상을 책임지는 사람. 기술감독의 역할은 소속 공연장이나 단체별로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무대장치의 제작과 설치에 관한 업무를 책임지는 사람을 말한다.

 

기술감독실 technical director’s office

기술감독의 공연 준비·정리를 위해 마련된 작업 공간.

 

기술구역 technical areas

기술자와 허가된 자만 접근할 수 있는 제한구역. 객석 공간의 조명브리지, 제어실, 조종갤러리, 그리드 등을 포함한다. 보통 무대 내에서 배우의 접근이 허가된 기술구역은 곁무대(wing)와 무대 하부뿐이다.

 

기술 연습 technical rehearsal

기술진들과 디자이너들을 위한 연습. 기술적 요소들의 결합을 위한 연습으로써, 조명, 소품, 음향 등의 기술적인 사항들을 미리 맞춰 보는 연습으로 이때 기술적인 모든 문제를 큐(cue)별로 공연 시작부터 끝까지 맞추게 된다.

 

기술조감독 deputy technical director

기술감독을 보조하는 사람.

 

 

낮 공연 matinee

낮에 하는 공연. 국내에서는 대개 주말에 낮 공연을 편성하며, 수요일이나 목요일에도 낮 공연을 하는 경우가 많다.

 

낮추세요, 숙이세요 lower

장치나 조명을 아래로 낮추어 달라는 말.

 

내리세요 come in, take in, fly in, bring in

장치봉이나 조명봉을 내려 달라는 말.

 

내실 inner room

다른 방(접근 공간)을 통과해야만 외부로 대피가 가능한 방.

 

내화성 fire resistance

일정 시간 동안 불에 타지 않고 잘 견디는 성질. 공연장 내부 건축 구조는 내화성 구조로 요구되며, 세부적으로는 관련 규격들의 해당 기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충족시키는 건물의 구성요소 또는 구조의 능력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30분 내화성 또는 60분 내화성으로 표현된다. 세부 기준은 건축법이나 소방법에 따른다.

 

내화성 구조 fire-resisting construction

일정 시간 동안 단열을 포함하여 화재에 견딜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한 하중 지지벽, 바닥, , (유리) 등의 구조물. 일반적으로 약 30분 정도를 최소 성능 요구 조건으로 제시하고 있다.

 

넓히세요 widen, make wide

조명 면적을 넓히라는 말.

 

녹음기사 recording engineer

공연 중 또는 공연에 필요한 음향의 녹음을 담당하는 사람.

 

놀이방 nursery, child care room

유아를 동반한 관객의 편의를 위해 공연을 관람하는 동안 탁아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

 

높이세요, 드세요 lift

장치나 조명을 위로 들라는 말.

 

눈높이 eye level

공연장 바닥에서부터 객석에 앉아 있는 관객의 눈까지의 높이. 한국인의 경우 약 1,150mm 정도가 된다.

 

느리게 slowly

느린 속도로 움직여 달라는 말.“천천히가 더 자주 쓰인다.

 

 

다림질 pressing

의상을 보관 손질하는 방법. 스팀용, 에어용, 전기용이 있다. 의상은 매 공연마다 세탁 및 다림질을 한 후에 보관해야 한다.

 

다목적 공연장 multi-purpose theater

다양한 종류의 공연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공연장. 무대 예술 이외의 다채로운 활동을 위해서 적합한 수평바닥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된다. 다목적홀이라고도 한다.

 

다목적홀 multi-purpose hall

다양한 종류의 공연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공연장. 일반적으로 다목적 공연장이라 한다.

 

다시 올리세요 take back

장치봉이나 조명봉을 다시 올려 달라는 말.

 

다초점극 multi-focus theatre

무대 여러 곳에서 한꺼번에 진행되는 연극. 다초점극에서는 한 공간이나 한 가지 움직임만 튀는 법이 없다. 멀티미디어 공연의 경우처럼 관객은 동시에 여러 개의 광경에 참여해 그것들을 마음속으로 종합하든지, 가장 흥미를 끄는 한 가지를 선택해서 그것에 집중하게 된다. 따라서가장 좋은 좌석같은 건 없다. 극장의 구석구석에서 이뤄지는 활동이 모두 다 중요성을 지니기 때문에 모든 좌석이 다 좋은 좌석인 것이다. 때로는 다초점에 멀티미디어를 접목시켜 연기, , 영화, 슬라이드, 조명 쇼가 결합된 작품이 상연되기도 한다.

 

단계식 화재 경보 staged fire alarms

주어진 영역 내에서 여러 가지 목적을 위해 둘 이상의 단계로 주어질 수 있는 화재 경고. 예를 들어, 제일 먼저 직원들에게 통지하고, 그 다음 대피를 위해 대기하고, 마지막으로 완전 대피를 실시하는 것과 같이 단계적으로 경보를 내리는 것을 말한다.

 

단계적 대피 phased evacuation

공연장에서 가장 위험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부터 통제를 시작하여 단계적 순차에 따라 공연장을 탈출하게 하는 대피 방식.

 

단기 순회 공연 bus and truck

북미에서 사용되는 표현으로 단기 체재를 위해 특별 계획된 순회 공연.

 

단장 head, artistic director

배우와 스태프를 포함한 전체 공연단의 운영과 관리를 맡아 단체를 이끌어 가는 총괄 책임자.

 

대극장

좌석 수가 1000여석 이상 되는 극장. 대극장에서 가능한 무대 표현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의견이 있다. 최근에는 좌석 수 500석 전후의 주로 연극 전용의중극장이라 하는 것이 증가하고 있는데, 중극장이나 소극장이 반드시 새로운 무대 표현을 위한 모험을 하는 것만은 아니지만, 대극장은 창조적인 향기보다는 넓은 범위의 사람들에게 보여지는 형태를 갖춘 곳이다.

 

단역 extra, bit player

공연 작품 중 작은 비중의 연기를 맡아 하는 배우.

 

대기, 스탠바이 stand by

즉시 움직일 수 있도록 대기해 달라는 말. 신호(cue)가곧 나갈 것이라는 환기를 주는 것이다.

 

대기실 green room

공연 전후나 공연 때 출연자나 스태프들을 포함한 전체 공연자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제공된 휴게 공간. 무대 뒷공간(back stage)에 있는 휴게실로 공연 중 출연자들이 대기하는 장소를 말하는데, 공연자 휴게실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대기실과 휴게실을 혼용해서 사용하는 사례가 많으며, 특별히 VIP 공연자를 위하여 VIP 대기실을 별도로 두는 공연장도 있다.

 

대기역 understudy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정해진 배우가 출연할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하여 그 배역을 연습하고 준비하여 공연중에 대기하는 사람.

 

대본 book

뮤지컬에서 가사가 아닌 이야기와 대사를 지칭하는 말.

 

대본(오페라) libretto

오페라의 대본 혹은 각본. 본래소책자란 의미다.

 

대본가 librettist, script writer, book writer

원작이나 구성 개념을 해당 공연에 적합하게 대본화하는 사람. 원작이 다른 장르의 작품인 경우 각색자라고도 한다.

 

대사 연습 read through, reading

대본에 근거하여 대사를 연습하는 것.

 

대역 stand-by, stunt man, stunt woman

공연 중 연출상의 필요에 의해 또는 예기치 못한 상황에 의해 어떤 역을 맡은 배우가 출연할 수 없는 경우, 그 배우의 역할을 대신하는 사람. 또는 그 역할. 연출상 필요에 따라 다른 배우의 특수한 역할만을 대신하는 사람도 대역이라 한다. 대역은 대기역이라고도 하며 주역 배우의 대사와 동작선(blocking), 몸 동작(business) 등을 연습해 놓아야 한다.

 

대중(관객) public audience

입장료나 공연 티켓의 구입과 무관하게 공연장이나 행사장 안에 있는 사람. 스태프나 공연자를 제외한 사람들을 말한다.

 

대체 대피 통로 alternative escape route

화재 발생 장소와는 무관하게 적어도 하나는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방향 및 공간에 따라 혹은 내화구조에 의해서 화재로부터 충분히 격리되는 대피 통로.

 

대피로 표지 escape route sign

비상시 건물의 외부로 나가는 길을 표시하는 신호. 일반적으로 출구 표지(exit sign)’로 줄여서 쓴다.

 

대피로, 피난 경로 escape route

건물의 어떤 장소에서 최종 출구(외부로 이어지는 마지막 문)로 가는 길. 일반적으로 대피로의 외벽은 내화성 구조로 둘러싸여 있다. 출구 및 대피로는 관객들이 공연장에서 탈출하기 위해 빨리 움직일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넓어야 한다. 공연장 등과 같은 특수한 용도의 경우에는 당해 층의 바닥 면적의 합계에 따라 복도의 유효 너비가 결정되며 최소 유효너비는 1.5m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유효 너비의 폭은 실내의 관객이 약 3분 안에 피난 경로를 통해 외부로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설계된 값이다. 일반적으로 대피로, 대피 통로, 피난 경로, 피난로, 피난 통로 등 다소 혼재되어 사용된다.

 

대피소 refuge

장애인 또는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이 완전히 안전한 장소에 도달하기 전에 휴식을 취하거나 지원을 기다릴 수 있는 적당히 안전한 장소. 대피소는 내화성 대피 경로로 직접 인도되어야 한다.

 

대피용 승강기 evacuation lift

화재시에, 장애인 등의 대피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승강기.

 

대향형 무대 tranverse stage

관객이 무대를 사이에 두고 양쪽 객석에 앉는 형태의 무대. 16~17세기 영국에서 대향형 무대가 사용되었으며, 사회적 계층에 따라 앉는 자리가 결정되었다.

 

댄스 플로어 dance mat, dance floor

발레나 무용 공연을 위해 무대 바닥에 설치하는 무용 전용 고무 매트. 무용수의 신체 보호용으로 여러 종류가 있으며, 보통 양면으로 된 고무판을 사용한다. 색상은 보통 회색과 검정색으로 설치시 무대 바닥 틈새를 보완 마감한 후에 설치해야 하며, 조명으로 적당한 온도를 가한 후 테이프로 마감한다. 무대에 깔면 짧은 시간 안에 바닥에 평평하게 가라앉아 붙게 된다. 일반적으로 두께는 1.2mm~1.6mm 정도로 얇고 가벼워서 설치와 철거가 용이하다. 댄스 매트의 보관과 운반은 모두 말은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독해, 리딩 reading, read through

앉은 상태의 배우들이 대본을 읽는 첫 단계의 연습.

 

돌출무대 thrust stage

무대 앞부분의 일부를 객석으로 돌출시켜 객석으로 둘러싸인 부분도 무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무대. 무대가 객석으로 진출하여 3면이 객석으로 둘러싸인 형태로, 프로시니엄무대와 원형무대의 특징을 결합한 것이다. 돌출무대의 특징은 관객에게 친밀감을 준다는 점과, 무대 디자인과 가시적 요소를 허용하는 단일 배경에 무대를 설치한다는 점이다. 주요 돌출무대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과 캐나다에 세워졌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미니애폴리스의 거스리극장과 스트랫포드에 있는 셰익스피어 페스티벌극장 등이 있다.

 

 

런웨이 runway

객석에서 무대로 연장된 좁은 통로. 보통 해학극 등에서 사용된다.

 

dome

 

레스터 rester

발코니석 앞쪽에 사람들이 기댈 수 있도록 패드 등을 댄 받침. 난간의 맨 윗단을 말함. 무대 위 장치봉에 고정되어 있는 타원형 하늘막(cyclorama).

 

동시통역실 interpreter’s room

발표회나 회의 등 필요에 따라 통역을 이용하는 경우, 동시통역이 가능하도록 만들어 놓은 별도 공간.

 

드라이테크 dry tech, dry technical rehearsal

전환 연습과 비슷한 기술 연습. 기술적 필요에 의해 출연진이 잠시 등장하기도 한다.

 

드레스 어 세트 dress a set

세트에 소도구나 사진 등의 장식을 설치하는 작업.

 

레퍼토리 repertory, repertoire

1) 일주일간 2개 이상의 작품이 돌아가면서 공연되는 편성 방식.

2) 편성의 한 형태. 대개 배우들로 이루어진 상주 극단이 있으며, 각 작품의 상연 기간이 제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연되고 있는 작품 하나에 리허설 진행 중인 작품 하나, 그리고 계획 정도가 다양한 작품을 서너 개 정도 지니게 된다.

 

로드 매니저 Road manager, roadie

순회 공연 관리자. 1일 공연, 특히 유명 악단을 동반하는 순회 공연 전문가.

 

로드 쇼 road show

여러 도시를 순회하는 공연.

 

로비 lobby, foyer

1) 현관에 이어진 넓은 대기실과 집합소의 형식을 갖추거나, 복도의 역할을 겸비한 곳 등으로 공연장 입구에 딸린 대기 공간.

2) 관객이 공연 시각 전후, 중간 휴식 등의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마련한 공간.

3) 극장 입구와 객석 사이의 공간으로, 관객들이 공연 전후 및 막간에 시간을 보내는 곳.

 

로지 공연장 loge theatre

특별석이나 최소 하나의 객석을 둘러싼 계단층이 있는 건축 양식의 공연장.

 

로프트 loft

극장 지붕과 그리드 사이의 공간. 일반적으로 무대 천장 공간을 말한다.

 

리셉션실 reception room

공연과 관련한 부가적인 이벤트를 위한 공간으로 참석자를 위한 식음료 제공, 안내 방송장치 등이 구비된 독립적인 공간. 소규모 공연장에서는 로비의 일부를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리터러리 매니저 literary manager

단체에서 제작팀의 일원으로 작품을 검토하고 선정하는 사람. 단체가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제작자나 기획자가 단체의 성격과 설립 취지에 맞는 공연을 하기 위해 직접 제작할 예술 작품, 혹은 대관을 신청한 작품을 선정하는 것은 가장 중요한 일이다. 특히 선정 기준에서 상업적 가치나 기획 방향 외에 예술적 가치나 작품성을 판단, 평가하는 일은 드라마트루그와 예술감독이 함께 맡는다.

 

리테일 retail

무대 뒷공간이나 공연장 안에서 극장 기념물이나 공연에 관련된 물품 및 기념품을 판매하는 상점.

 

 

마리오네트 marionette

머리, 동체, 팔다리에 매어 놓은 철사나 실을 조작해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만든 전신 인형. 여러 종류의 인형이 있는데, 안에 손을 집어넣고 엄지와 집게, 가운뎃손가락으로 머리와 팔을 조종 하게 되어 있는 인형이 있는가 하면, 밑에서 막대기나 기계장치로 조종하는 인형, 위에서 조종하는 인형 등이 있다. 처음에는 머리나 손에 줄을 한 개씩 연결했다.

 

마스크 mask

1) 한 배우가 다른 배우를 가려서 관객의 시야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 배우뿐 아니라 어떤 장면을 가리는 것도 모두 포함된다.

2) 등장인물의 얼굴을 가리는 것. 원시시대 수렵 전후에 행해진 의식에서는 남자들이 동물의 가면을 쓰고 쫓기는 동물을 흉내냈다. 고대 그리스의 한 항아리에는 말의 가면을 쓴 남자들이 그려져 있다. 연극은 이와 같은 활동으로부터 가면 형식을 이어 받았다.

 

마케팅 매니저 marketing manager

공연 예술 작품을 일반 관객들에게 유통시키는 일련의 체계적인 시장 활동을 기획하며, 산업화 개념 도입에 따른 공연의 홍보와 판매를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시장 분석과 판매를 촉진하는 업무를 맡은 사람.

 

act

1) 연극의 큰 단락 또는 그것을 세는 단위.

2) 관객을 위한 막간 휴식 사이의 일부분. 5막으로 구성된 <Horace’s Dictum> 대본에서 유래된 것으로, 희곡을 극장적으로 나누어 장면 전환 혹은 휴식 시간 소개 등을 안내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막 올라갑니다 curtain going up

막이 올라가고 공연이 시작된다고 알리는 말.

 

막간 intervalUK, intermissionUS

1) 연극의 한 막과 그 다음 막 사이. 전체 극의 반 정도가 지났을 때에는 관객들이 객석을 빠져 나와 잠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하기도 한다.

2) 공연이나 세션 등에서 막간의 휴식 시간.

 

막다른 길 dead end

대피가 한 방향으로만 가능한 영역.

 

매표 관리자 box office manager

매표소의 상황과 활동을 관리, 감독하는 사람.

 

매표소, 매표구 box office

입장권을 판매하거나 좌석권을 교환하는 장소. 최근에는 키오스크(kiosk)를 사용하기도 한다.

 

매표원 box officer, box office assistant

공연장을 이용하는 관객들에게 입장권을 판매하며 예약 상황 및 매표 수 등을 관리하는 사람.

 

머리 높이까지 head height

머리에 부딪히지 않을 만큼 장치봉이나 조명봉을 내려 달라는 말.

 

멀티형 공연장 multiform theatre

다양한 무대 형태를 구성할 수 있는 공연장.

 

면막 내리세요 close the curtain

관객 입장을 위해 면막을 내려 달라는 말.

 

무대 stage

공연장에서 관객이 점유하는 공간과는 별도로 연기자가 노래, , 연극 등의 공연 행위를 할 수 있도록 만든, 실제 공연이 이루어지는 모든 공간. 주변의 바닥보다 약간 높으며, 주변 여건에 따라 단상이나 연단, 지휘대 등을 포함한다. 무대는 개념적으로무대 안(On Stage)’무대 밖(Off Stage)’으로 나눌 수 있으며, 공간적(프로시니엄 무대를 기준)으로주무대(Main Stage)’,‘옆무대(Side Stage)’,‘앞무대(Fore Stage)’,‘뒷무대(Rear Stage)’,‘무대상부(Fly Loft, Fly Tower)’,‘무대하부(Under Stage)’로 나눌 수 있다.

 

무대 깊이 stage depth

무대 앞뒤의 거리로, 무대의 영점선으로부터 뒤쪽 경계벽 혹은 하늘막까지의 거리.

 

무대 높이 stage level

객석 바닥으로부터 무대 바닥까지의 수직 거리.

 

무대 방향 directions

공연장에서 공연 작품에 참여하는 출연자가 직접 사용하거나 접하는 무대공간에서 통일된 의사소통을 위하여 주무대를 기준으로 정한 무대 방향. 뒤쪽, 앞쪽, 안쪽, 바깥쪽, 위쪽, 아래쪽과 무대 좌측, 무대 우측 등.

 

무대 위 중앙 up-stage center

프로시니엄 무대 위를 6개 구역으로 나누었을 때 가운데 위쪽. 이구역이 무대 상에서 주된 연기 공간이다. 무대 구역 참조.

 

무대 상부 over stage

주무대 공간을 포함하여 무대 바닥으로부터 무대 천장까지의 수직 공간. 갤러리를 포함하여 상부무대시설이 승강하고 보관되는 공간 전체를 말한다.

 

무대 우측 stage right

공연자가 무대에서 객석을 향해 선 자리에서 무대의 오른쪽.

 

무대 좌측 stage left

공연자가 무대에서 객석을 향해 선 자리에서 무대의 왼쪽.

 

무대 폭 stage width

무대 양 측면 경계벽 사이의 너비 또는 주무대의 너비.

 

무대감독 stage manager, resident stage manager(RSM)

최종 리허설 후 공연을 넘겨받아 무대에 올리는 책임자. 공연을 위해 연습과 복습을 시키며, 조명·음향 장치의 전환과 큐를 내고, 무대 등장과 퇴장을 점검하여 공연의 질을 유지시킨다. 무대감독은 드레스 리허설(dress rehearsal) 이후에 진행되는 공연 모든 사항에 대한 총책임자이다. 대역배우들을 모아 연습시키고, 조명과 음향, 무대 기계, 장치 전환 등을 지시하며, 등퇴장을 비롯한 공연 진행을 하는 사람이다. 공연 전에는 모든 연습(rehearsal)에 참가하여 동작선(blocking)과 몸동작과 그 밖의 결정 사항들을 정확히 기록한다.

 

무대감독보 assistant stage manager(ASM)

무대감독을 보조하는 사람. 장치 전환을 감독하고, 소품과 설비를 점검하며, 배우와 무대반을 소집하고, 배우들에게 시간을 일깨워주며, 막의 오르내림을 감독한다. 주로 무대감독의 반대편에서 일한다.

 

무대감독실 stage manager’s office

공연 전후 무대감독이 공연을 준비하고 정리하는 작업 공간.

 

무대 경사도 tilting, raked

승강무대를 경사지게 만들어 계단이 아닌 완만한 경사로 자연적인 무대 바닥을 만드는 것. 경사도는 10~15로 단일 무대일 경우에 적합하다.

 

무대 계획

무대라는 제한된 공간을 극적 공간으로 재구성하기 위한 계획. 연기자, 의상, 조명, 무대장치, 극장 관리자, 연출자 등 모든 요소가 고려되어야 한다. 이렇게 세워진 계획은 다시 이 모든 분야에 영향을 준다. 중요한 것은 이 계획 안에서 분야별로 서로를 제약하는 부분이나 영향 등을 잘 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무대 계획은 무대에서뿐만 아니라 공연이 시작되고 관객이 들어와 앉은 그 순간까지도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무대 계획은 늘 수정이 가능하도록 열린 상태여야 한다.

 

무대 구성 stage setting, stage scenery

무대공간의 구성부터 시작해서 공연시 무대장치의 전환 및 진행까지 무대화 작업의 기술적인 부분. 여기에 무대디자인 개념과 무대 미술 개념이 합쳐지면, 건축적 요소, 회화적 요소 등등에 이르기까지 모든 조형상의 요소를 동원하여 극적 공간으로서의 무대를 구성하는 일, 또는 구성해 놓은 무대를 의미한다.

 

무대 구역 stage area

무대는 몇 개의 구역으로 나뉘어질 수 있고, 나뉘어진 각각의 구역은 고유한 특성을 가지며, 다른 어떤 구역에 대하여 상대적인 가치를 지니기도 한다. 프로시니엄 무대는 보통 6개나 9개의 구역으로 나뉘며 각각의 구역에 이름을 붙여 연출자와 연기자 사이에 편리한 소통어가 되기도 한다. 무대 구역은 일반적으로 9개의 구역으로 세분할 수 있으며, 각각의 명칭은 다음과 같다.

 

UR(up right) UC(up center) UL(up left)

CR(center right) CC(center center) CL(center left)

DR(down right) DC(down center) DL(down left)

 

여기서 무대의 좌측과 우측은 무대에 선 배우가 관객을 바라보는 관점에서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하며, updown은 무대의 뒤쪽과 앞쪽을 말한다. 무대의 뒤쪽을 up이라 하는 것은 관객이 쉽게 볼 수 있도록 무대 평면에 경사를 둔 것으로부터 유래한다.

 

무대그림 stage picture

무대 위 연기자의 위치와 간격 등을 배열하고 자세를 정해 주었을 때 객석에서 본 전체적인 무대의 상(). 무대그림은 극이 표현하고자 하는 의미나 분위기를 나타내준다.

 

무대기계감독 chief mechanics

공연장의 무대기계, 기구의 사용 계획을 세우고, 무대기계의 유지·보수·운용 등에 종사하는 작업원들의 활동을 지휘, 감독하는 사람.

 

무대기계전문인 stage machinery engineer

조명기, 무대장치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무대 시설을 운전하며, 공연 중 상하부 시설의 전환과 무대기계, 기구 등의 보수·점검·안전 관리를 담당하는 사람. 무대기계가 정하는 범위는 상하부 무대기계의 조작, 관리 및 무대 장치의 전환 분야를 말한다.

 

무대기술 안내책자 technical brochure, manual

무대기술정보에 관한 내용을 담은 책자.

 

무대 뒤, 무대 뒷공간 back stage, back stage area

무대공간 중 관객에게 보이지 않는 극장 안의 공연 준비 공간. 배우와 그 외의 스태프들이 사용하는 공간으로 분장실, 의상실, 휴게실을 모두 포함하여 공연 준비나 대기 공간과 기술적인 작업 공간을 총칭하는 것으로, 무대 후면의 보조지역을 말한다. 백스테이지라고도 하며 경우에 따라뒷무대라고도 부르지만 후 무대(rear stage)와 혼동되기 쉽기 때문에무대뒤로 통일해 사용한다. 무대 뒷벽의 우묵한 구석을 지칭하기도 하는데, 이곳에서는 무대 장치를 설치하거나 보관한다. 관객으로부터 보이지 않는 곳, 즉 연기 공간으로서의 무대 뒤의 보조무대로서 하늘막에 의해서 분리된다.

 

무대장치 디자이너 set designer

한 공연 제작의 시각적 환경의 개념을 이끌어내고 디자인하는 사람.

 

무대디자인보 assistant set designer

무대디자이너의 시각적 계획을 도면으로 그리는 사람 또는 장치제 작소에서 제작감독과 함께 디자이너의 작업 도면을 분석하여 제작 도면을 그리는 사람.

 

무대미술 scenography

무대의 정경과 분위기를 꾸미거나 살리기 위한 조형 예술. 맥그로힐(McGraw-Hill) 예술백과사전에서는 무대미술이란보통 2차원적인 평면 위에 원근화법을 사용함으로서 3차원적인 실체감을 묘사하는 예술이라고 정의했다. 그러나 이는 오늘날의 무대미술 작업 개념을 설명하기에는 부족하다. 근대의 무대에서 제한된 공간을 더욱 확산시켜 공간성을 느끼게 하는 방법은 2차원 평면 위에 3차원의 실체감을 묘사하는 원근화법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으나, 오늘날 극장에서의 기술은 3차원 이상의 실체감마저 가능케 하기 때문이다.

 

무대미술가 scenographer

무대 공연의 시각적 환경 전체를 책임지는 사람. 의상과 조명의 디자인 개념 도출에도 관여한다. 이 말에는 무대 환경이 장식적으로 추가되는 것이 아니라 작품의 통합된 구성 요소가 되는 극장이라는 의미도 포함된다.

 

무대 밖 off stage

장치에 포함되지 않는 무대의 모든 부분으로 배우들의 등퇴장이 이루어지는 뒷부분과 배우들이 이동하는 곳. 무대 밖에서는 무대 장치가 전환을 위하여 대기하고 있거나 스태프들과 배우들이 대기하고 있기도 한다. 대규모의 군중 장면 같은 경우, 대기하고 있는 배우들이 관객에게 보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고 질서 있게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무대의 창문이나 문을 통해 극중 인물과 상관없는 장치나 사람이 보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무대밟기 mark

무대장치가 설치된 후 출연자가 각자의 연기 장소를 확인하고 장치와 조명에 적응하기 위해 간단히 공간 사용을 연습하는 것.

 

무대분장 makeup

자연 상태의 배우를 화장시키고 가발을 씌우거나, 신발을 신게 하고, 소도구를 갖추는 등 배우를 무대에 등장시키기까지의 준비를 분장이라고 한다. 무대분장은 단순히 아름답게 꾸미는 보통의 화장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것이다. 분장은 제3의 인물을 창조하기 위한 행위이며, 배우 자신이 한 사람의 새로운 인간으로 분하기 위하여, 선천적 용모 위에 새로운 의미를 부각시키고, 예술적 형상화 차원에서 보다 풍부하게 구상화하는 것이다.

 

무대 안, 무대 위 on stage

실제 공연 행위가 벌어지는 공간으로 관객의 눈에 보이는 무대공간.

 

무대용품 창고 property storage

공연에 쓰인 대소도구 및 장치들을 보관하는 공간. 작품별, 종류별로 보관하며, 보관 시설은 항온 및 항습 설비를 갖추어야 하고 소품들이나 장치들을 무대로 이동하기가 용이하도록 하여야 한다.

 

무대음향전문인 sound engineer

음향 장비를 다루고 관리하는 사람. 무대음향전문인의 업무의 범위는 무대음향 기기의 작동, 설치, 조정(오퍼레이팅), 보수와 녹음 및 편집 작업, 음향기기 설치 및 조정을 위한 설계, 음향 큐시트(녹음과 확성) 작성과 음향 제작 실무로 정하고 있다.

 

무대음향 조정실 sound control room

공연 중 음향 조정을 위하여 별도로 마련된 공간.

 

무대의상 stage costume, wardrobe

배우가 연기할 때 입는 옷의 총칭. 의상의 역할은 관객의 입장에서 뿐만 아니라 배우의 입장에서도 절실한 것이다. 단순히 배우의 몸을 감싸주는 것뿐만 아니라 배우가 표현해야 하는 배역의 배경을 배우의 몸을 빌어 표출시키는 것이다. 무대의상은 장치나 조명 등 다른 요소들과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전체적인 시각 효과에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이다. 1차적으로 배우와 관련되어 있지만 무대장치의 일부분으로 간주된다.

 

무대작화 stage painting, scene painting

무대장치 중 평면적인 막이나 평판 등에 그려진 건물이나 풍경 그림. 배경으로 장식한 정교한 그림은 조명 상태에 따라 실제의 것처럼 보이는 일종의 환상을 관객에게 준다. 그러나 이 그림의 목적은 실물처럼 보이게 하는 것이 아니라 실물처럼 꾸민 모조품임을 관객에게 인식시키는 것에 있을 수도 있다.

 

무대장식 stage interior decoration

주로 사실주의 무대에서 사용되는 실내 장식.

 

무대장치 설치 hang, set, build

무대장치를 설치한다는 뜻의 용어.

 

무대장치감독, 장치감독 chief carpenter

제작된 장치를 공연장에 설치, 전환, 수선, 철거하는 활동과 인력을 지휘, 감독하는 사람.

 

무대장치팀 grips

제작된 장치의 설치·전환·수선·철거 일을 하는 작업자들.

 

무대 전환 bring up, stage shift

1) 음악회 공연시 휴식이 아닌 중간 전환을 뜻하는 것으로, 의자, 보면대, 악기 등을 전환하는 것.

2) 한 장면의 무대장치를 다른 장면의 무대장치로 변화시키는 것.

 

무대 전환수 stagehands

무대 뒤(back stage)에서 무대감독의 지시를 수행하는 작업자들. 공연 중 주로 무대 전환을 맡으며, 무대에서 필요한 간소한 공구들을 언제나 휴대하고 무대감독이 알고 있는 위치에 대기시킨다. 세트 설치 및 철거나 장면 전환시 일시적 작업 인원이 필요한 경우에 고용되는 사람을 말한다.

 

무대 정리 clear stage

공연이 끝난 후 무대를 완전히 청소하여 다음 공연에 대비하는 것. 공연 시작을 위해 정위치 이외의 배우나 작업인원들은 무대를 비워달라는 말로도 사용된다.

 

무대제어실 stage machinery control room

각종 무대장치 및 무대 기계를 조종 및 조정하기 위한 공간. 무대 기계 조정실로 통일한다.

 

무대조명 stage lighting

연극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무대를 비추는 빛의 밝기, 색깔, 방향, 움직임 따위를 조절하는 일. 무대미술은 다른 시각적 예술과는 달리 무대 구성을 완성하기 위해 최종적으로 조명에 의존해야 한다. 또한 무대조명에 의해서 완성된 무대장치는 동적인 감각을 이룰수 있다.

 

무대조명전문인 stage electrician

공연에 필요한 조명 설비를 설치하고 조작, 조절하는 사람. 무대조명전문인의 업무는 무대조명의 조명기기 설치, 콘솔 입력 및 제어, 공연 중의 조명기기 조작, 전환 실무, 작품의 설계 작업 등을 포함한다.

 

무대조명 조정실 lighting control room

공연 중 조명장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별도로 마련된 공간.

 

무대준비 onstage call

공연시 무대감독이 분장실에 있는 배우에게 등장 준비를 지시하는 것.

 

무대 청소 brush-up call

매회 공연 시작 1시간 전에 무대를 청소하는 것과 효과용 눈이나 꽃가루 사용시 청소하는 것. 작업 방법은 마른 걸레 청소가 적당하다.

 

무대탑 stage tower

주무대의 상부 공간으로 무대장치나 조명기 및 특수설비를 달아 올릴 수 있도록 기계상부 시설물이 설치된 공간. 프로시니엄 아치 높이의 3~3.5배 정도가 적당하다.

 

무대평면계획 stage planning

무대미술은 무대상의 제약을 받으면서 계획을 세우게 된다. 그 제약은 연기자뿐만 아니라 조명이나 의상, 가발, 배우, 무대감독, 제작자, 극장 관리자, 소방수, 연출자 등에게서도 받는다. 이렇게 세워진 계획은 다시 전체에 제약을 가하게 되어 각각의 분야가 갖고 있는 계획이 상호 간의 제약으로 얽힌다. 이것을 풀어가는 작업을 하지 않으면 개개의 계획이 성립되지 않는다. 객석에 관객이 들어오기 시작해야 비로소 계획이 구체화된다. 그때까지 무대 계획은 책상 위 작업의 연장으로, 필요하면 수정도 가능하다.

 

무대 하부 stage basement

공연 중에 이용하는 무대기계나 장치 등을 사용하는 무대의 하부 공간. 화재 위험 지역으로 분류되며, 공연자와 스태프는 공연 중에 무대 하부에 머무를 수 있다. 건축적인 면에서 하부 혹은 지하공간을‘basement’라고 할 수 있으며 무대 분야에서의 무대 하부(under stage)와는 다소 다른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무용 연습대 dance bar

발레나 무용 공연을 위해 사용하는 연습대. 재질은 참나무나 호두나무가 적당하며 높이는 80, 90, 110cm 이며 봉의 지름은 5cm 가 적당하다. 발레나 무용 연습실에는 벽에 부착된 고정용으로 해야 한다.

 

무용 연습실 practice room

무용 공연을 위해 만들어 놓은 공간으로, 무용수의 연습에 필요한 전신 거울과 균형봉 등이 준비되어 있고, 바닥에는 무용 매트가 깔려 있는 연습 공간.

 

무용감독 dance director

안무가가 디자인한 무용 동작을 실현하도록 지도하고 감독하는 사람.

 

무용수 dancer

안무가가 디자인한 무용 동작을 몸으로 연기하는 사람.

 

무한궤도 treadmill

컨베이어 벨트와 유사한 형태로 무대장치나 소품, 배우 등을 실은 채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벨트 장치. 양 끝에 있는 드럼의 회전에 의해 계속 돌아가게 된다. 중간의 벨트가 처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중간에 있는 벨트 아래에는 별도의 받침대를 설치한다.

 

문의 폭 door width

문 틀을 기준으로 직각으로 열릴 때, 문 판 사이의 바닥을 기준으로 1,500mm 높이에서 측정하는 안쪽 치수(clear width). 문의 쇠붙이는 문 표면에서 100mm 이상 튀어 나오지 않는 한 무시할 수 있다.

 

물품 보관소 cloak room

공연이 진행되는 동안 관객들의 옷이나 소지품 등을 맡아 보관하는 장소.

 

물품 보관원 cloak room attendant

물품 보관소에서 공연자나 관객들의 옷이나 소지품 등을 공연 시간 동안 보관하는 일을 맡아 하는 사람.

 

뮤지컬 극장 musical theater

음악을 포함한 무용, 연극 등의 형식을 결합시켜 동적인 무대 전환이 가능하도록 맞추어진 극장. 뮤지컬은 음악과 무용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배우나 장치의 이동이 매우 동적이며 다양한 특수 효과가 사용된다. 또한 음향적 효과를 위하여 오케스트라의 연주가 병행된다. 오페라극장과 같이 무대 면적이 크며 다양한 무대장치들이 사용된다.

 

 

바깥쪽 off

무대의 너비 방향을 가리키며, 공연 행위 공간의 바깥쪽.

 

바닥 floor

관객이나 공연자 등이 밟고 있는 편평한 평면.계단식 관람석의 단(tier), 발코니를 포함하며 상황에 따라서는 지면(ground)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까지 to floor

작업을 위해 장치봉이나 조명봉을 최대한 내려 달라는 말. 장치봉의 경우 대개 무대 바닥에서 1.2미터의 높이가 바닥높이다.

 

바닥전환수 floor grip

바닥장치를 조작, 전환하는 장치수. , 무대기계의 조작은 무대기계 분야에서 담당한다.

 

바닥조명수 floor electrician

공연 중 무대 바닥에 조명기의 위치를 바꾼다거나 장치 전환에 따라 전선을 관리하거나 포그머신(fog machine) 등의 조작을 맡는 무대 일손.

 

바림 gradation

장치 채색시 톤을 일정한 방향으로 짙어지게 하거나 밝아지게 하는 기법.

 

박스 세트 box set

무대 세트 중 삼면이 평판으로 이루어진 세트. 주로 실내 공간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박스석 box seat

객석 공간 안에 별도로 설치하는 작고 독립된 좌석 공간. 일반적으로 프로시니엄 근처에 위치하며, 객석 또는 별도의 출입구를 통해서 들어간다. 유럽에서는 박스석 안에 바닥이 고정되지

않은 몇 개의 의자를 배치하여 둔다.

 

반입 load in

장치, 소품, 조명장비, 음향장비 등 공연에 필요한 모든 요소들을 극장 안에 들여 설치하고 준비하는 일. 장치, 조명, 음향 등의 기술적 사항들과 배우, 악단 등의 인적 요소까지 포함한다. 반드시 극장 반입에 관한 절차를 거쳐서 극장 안전 규정 여부를 확인한 다음 설치될 장소로 반입한다. 통로의 크기가 제한되어 있으면 분리시켜 반입한다.

 

반입 승강기 get-in lifts

장치 반입용 승강기. 8톤 트럭의 적재량을 고려하는 것이 적당하며, 하중 및 장치의 높이를 고려해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화물 리프트 혹은 화물용 승강기라고 한다.

 

반출 load out, get out

공연이 끝난 후 철수할 무대장치를 외부로 반출하는 것. 반드시 극장 반출에 관한 절차를 거쳐 작업 순서에 따라 극장 안전규정 여부를 확인한 후 철수해야 한다.

 

발코니석 balcony seats, circleUK

1) 2층 이상의 공연장 공간에서 객석 측면 등에 위치하여 별도의 출입 통로가 마련되어 있는 특별석.

2) 1층 객석보다 높이 올라와 있는 층. 이곳에 객석을 설치할 수도 있다.

3) 객석 중에서 무대 양옆으로 2, 3층 벽쪽에 튀어나온 좌석.

4) 1층 객석에 대한 2층 이상의 객석. 또는 2층 객석 앞쪽에 조명기구를 다는 부분.

 

방호 계단 protected stairs

탈출경로에 위치한 보호되어야 하는 계단. 특별히 다른 공간들과 구별하여 방화구조(내화구조)로 설계된다.

 

방호 로비 protected lobby

탈출경로에 위치한 보호되어야 하는 로비. 특별히 다른 공간들과 구별하여 방화구조로 설계된다. 2세트의 방화문을 경유해서 하나의 대피 계단실로 향하는 접근 수단을 제공하며, 화장실과 승강기를 제외하고는 어떤 공간으로도 통하지 않는 내화성 밀폐 공간.

 

방호 복도 protected corridor

탈출 경로에 위치한 보호되어야 하는 복도. 특별히 다른 공간들과 구별하여 방화구조로 설계된다.

 

방화 샤프트 firefighting shaft

방화용 계단, 소화용 주배관, 소방용 로비, 소방용 승강기(설치되었을 경우)를 포함하는 내화성 외벽.

 

방화관리자 fire safety manager

일상적 화재안전관리 수행을 책임지는 임명된 사람.‘( 책임자와동 일인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방화구역 fire separated

내화성 구조물로 분리된 구역.

 

방화 구획 fire compartment

동일 건물 또는 인접 건물의 다른 부분으로, 혹은 다른 부분으로부터 화재 확산을 방지하도록 만들어진 건물 또는 건물의 일부.

 

방화 시험 fire test

공연 시작 30분 전에 방화막 구동을 시험하는 것. 선진국에서는 방화막 개폐시험을 의무화하는 국가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배경 전환 transformation

순간적인 배경 변화. 조명 조건에 따라 거즈(gauze)의 투명성 정도를 다양화하는 방법의 개발에 영향을 받기도 한다.

 

배역 감독, 캐스팅 감독 casting director

한 공연 제작에 필요한 연기자를 발굴하고 선정하며, 배역 선정 과정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사람.

 

배우, 연기자 actor, actress

공연 작품에 출연하여 등장인물의 역할을 맡아 등장인물로 분장하고, 공연 대본에 따라 행위와 몸동작, 대사를 연기하는 사람.

 

번역가, 번역자 translator

외국어 작품을 공연할 언어로 번역하는 사람.

 

범프 잇 bump it

가능한 한 빨리 그것을 하라는 뜻으로 사용하는 의사소통어. 무대장치를 배튼이나 그리드에 매달 때 균형을 잡기 위해서신속하게 내려라라는 뜻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조명에는 갑자기조도를 세게 하라는 뜻으로 쓰인다.

 

보류, 잠깐 보류 hold it

무대에서 진행 중인 일을 잠깐 멈추라는 말.

 

보면대 music stand

오케스트라나 합창단 혹은 지휘자 앞에 놓여져 악보를 펴서 놓을 수 있는 대. 악보대라고도 한다.

 

보여주세요 show me the pipe!

장치봉이나 조명봉을 보일 만큼만 내려 달라는 말.

 

보조 출입문 pass door

객석 공간과 뒷무대 공간 사이를 편리하게 드나들기 위하여 프로시니엄 벽에 설치한 문. 보조 출입문은 탈출 경로로 사용하지 않는다.

 

보조 공간 ancillary accommodation

기계실(plant room), 저장실, 주방, 분장실, 무대공간, 장치실(scene docks), 작업실, 사무실 및 제어실 등을 포함하여 관객이 직접 접근

 

분리형 무대 separated stage

개방형 무대에 대응되는 용어. 무대의 화재 위험 지역과 공연장의 다른 부분을 내화구조물을 이용하여 분리하고, 프로시니엄 개구부에 방화막을 설치하여 무대와 객석 사이에 화재 및 연기의 이동도 억제할 수 있다. 4, 6면의 무대 구성시 좌측과 뒷무대 사이, 우측과 뒷무대 사이에 무대 승강기가 설치되어 있어 무대 전체 전환이 가능한 무대. 주로 오페라극장에 설치·운영하고 있다. 특히 레퍼토리 극장에서는 다음 작품의 장치 설치 무대로도 사용한다.

 

보호경로 protected route

내화구조에 의해서 건물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적절히 보호되는 대피경로.

 

본무대선, 본막선 plaster line, curtain line

무대막이 설치된 무대 바닥선. 공연시 무대 제일 앞선이 되며, 메 인 커튼이 위치한 가상의 선으로 막이 닫혔을 때의 선을 말한다. 배우가 출연 작품 중의 어느 인물로 꾸미는 것. 무대 화장과 보통 사람들이 하는 화장은 기본적으로 다른 것이 없으나, 무대 화장은 연극 직전에 해서 그 역할에 맞는 전형적인 얼굴로 변하고 연극이 끝난 후에는 없어지는 단시간적인 것이다. 분장(make-up)은 현대에 와서 주장을 가진 화장으로 살아나게 된다.

 

분장디자이너 make-up designer

한 공연의 분장 개념을 이끌어내고 디자인하는 사람.

 

분장사 make-up artist

공연 분장 디자인에 따라 배우의 얼굴과 몸에 분장을 해주는 사람.

 

분장실 dressing room, make-up room

출연자가 분장을 하고 의상을 갈아입을 수 있도록 마련한 방. 되도록 무대 가까운 거리에 배치하며, 내부에 화장실, 세면실, 샤워실 등을 갖춘다. 분장실은 배우들이 옷을 두거나 갈아 입으며, 화장을 하고, 공연을 준비하며, 출연을 대기하는 데 활용된다. 따라서 옷걸이와 사물함, 대형 거울과 밝은 조명시설 등이 있어야 한다. 분장실은 여러 명이 사용하는 것 이외에도 VIP 분장실, 주역 분장실, 개인 분장실 등이 있다.

 

블랙박스 무대 black box stage

객석이나 무대의 형태를 공연에 따라 바꿀 수 있는 구조의 무대. 가변형 무대(flexible stage)의 일종으로, 일반적으로 소극장이나 스튜디오극장 등에서 활용된다. 상자형 공연장 혹은 상자형 무대로 불리운다.

 

비상대피조명 emergency escape lighting

정상적인 조명 시스템에 이상이 있을 경우 동작하는, 대피경로를 비추기 위해 설치된 조명.

 

비상등, 비상조명 emergency lighting

정상 조명시스템이 고장일 때 사용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조명. 유도등도 비상조명에 포함된다.

 

비상조명등 maintained emergency luminaire

정상 조명이나 비상 조명이 필요할 때 항상 비상 조명등이 통전되어 있는 조명장치. , 공연장에서 전원 공급과 무관하게 항상 켜져 있는 비상 조명 시스템.

 

비상탈출로 escape route

건물의 어떤 장소에서 최종 출구(외부로 이어지는 마지막 문)로가는 길. 일반적으로 비상탈출로의 외벽은 내화성 구조로 둘러싸여 있다. 대피로 또는 피난경로라고도 한다.

 

비지속적 비상조명 non-maintained emergency lighting

정상적인 전원 공급이 되지 않을 때 비상조명등이 켜지는 조명 시스템.

 

비평 criticism

희곡이나 연극을 대본이나 공연으로서 이해하고 평가하는 것. 연극 비평을 유형별로 나누어 보면 서술적·평가적 비평, 극작가적 비평이 있다. 비평가는 그 연극이 무엇에 관한 것이며 어떻게 표현 되었나에 관심을 가지며 역사적 배경, 주제, 장르, 인물, 플롯, 행위 등과 관계시켜 고찰한다.

 

빠르게 quickly, rapidly

빠른 속도로 움직이라는 말.

 

 

상부 조명수 house electrician

극장에 소속된 조명기사. 공연 준비 때 조명시설 관리와 작업등 점멸을 맡고, 공연 중에는 무대감독의 큐에 따라 객석등의 점멸을 맡는다.

 

사이옵티션 scioptician

구름이나 불길, 파도와 같은 움직이는 효과를 만들어내는 장치를 말한다.

 

삼각기둥장치 periaktoi

고대 그리스시대에 처음 사용한 장치로 3면이 3각으로 이어져 있고, 하부에 피봇(pivot)이나 바퀴를 사용하여 3면으로 회전시켜 장면 전환을 할 수 있게 만든 장치.

 

상부작업통로 catwalk, walkway

주무대 상부 공간에 장치 설치 및 무대 점검을 위하여 설치된 작업 통로. 경우에 따라서는 등장인물의 동작선으로 활용한다.

 

상승 up

기구가 낮은 곳에서 위를 향하여 올라가는 것.

 

상업극장 commercial theatre

작품 제작비를 대주는 투자가가 작품의 흥행 성공을 기원하는 것이 자신이 투자한 자본을 돌려받기 위해서가 아니라, 투자에 따른 높은 위험률에 대한 보상이 될 만큼 큰 이윤을 배분받기 위해 운영하는 극장.

 

상부 전환수 flyman, house flyman

공연 준비 때 매달기 시설을 관리하고, 공연 중에는 무대감독의 큐에 따라 달기 장치나 막 등을 조작, 전환하는 장치수.

 

상자형 공연장, 블랙박스 극장 black box threatre

필요에 따라 객석과 무대 구조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공연장.

 

상자형 무대 box stage

관객과 연기자가 공연의 필요에 따라 객석과 무대의 구조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무대. 가변무대라고도 한다

 

상하 미닫이창 up and down window

위아래로 밀어 올려서 열고 닫는 창문.

 

서커스 공연장 circus theater

서커스 공연 예술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공연장.

 

서클석 circle

원형 무대 등에서 사용하는 원형 관람석. 프로시니엄 무대의 경우 1층 객석 주변에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좌석을 말하기도 한다. 특별히 2층 정면의 좌석을 드레스서클석(dress circle) 혹은 어퍼 서클석(upper circle)이라고도 한다.

 

석면 asbestos

섬유상으로 마그네슘이 많은 함수규산염(含水硅酸鹽) 광물. 크게 크리소타일을 주성분으로 하는 온석면과 각섬석질 석면으로 나뉜다. 석면 섬유 한 가닥의 굵기는 대략 머리카락의 5,000분의 1 정도이다. 내구성, 내열성, 내약품성, 전기 절연성 등이 뛰어나고 값이 싸서 건설 자재, 전기제품, 가정용품 등 여러 가지 용도로 널리 사용되었다. 최근에는 법으로 사용을 금하고 있는 추세이다.

 

선긋기, 블로킹, 동선 연습 blocking

디자인된 극공간 속에서의 무대의 움직임을 결정하고 연습하는 것.

 

세탁실 laundary

공연 중에 사용되는 모든 소품과 의상 등의 세탁을 위한 공간.

 

세트 set

1) 무대장치를 세우라는 뜻의 의사소통 용어.

2) 극을 위해 무대에 올려 놓은 장치.

 

세팅 라인 setting line

무대에 설치되는 무대장치들의 앞쪽 설치 한계선. 무대장치들은 이 이상 객석 쪽으로 가깝게 설치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프로시니엄 개구면에서 약 1m 뒤쪽의 위치가 된다. 그러나 1m의 공간이 관객에게는 너무 깊게 느껴질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프로

시니엄 바로 뒤에 면막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소공연장

함하는 내화성 외벽으로 된 방화용 계단.

 

소방용 승강기 firefighting lift

화재 진압을 할 때 소방대의 직접적인 통제 하에 사용될 수 있게 하는 제어장치와 추가적인 보호 기능을 구비한 승강기.

 

소방 책임자 fire marshall, fire inspector

각 극장 건물의 소방안전을 책임진 사람. 화재 위험을 사전에 막고 소방시설을 관리 감독한다. 일반적으로 소규모의 연극을 목적으로 단층으로 건설된 공연장. 공연예술진흥기본법에서는 300석 미만의 소규모 공연장을 소공연장으로 정의하고 있다.

 

소극장 little theatre, community theatre

200~400석 미만의 객석을 가진 소규모 극장. 또는 실험연극집단이나 아마추어 연극집단을 일컫는 말이다. 연극적 표현이라는 측면에서는 음향이나 조명 등의 기술적인 극장 설비를 갖춘 대극장보다 작은 공간이 효과적인 경우가 많다. 극적인 새로운 에너지가 생기는 것은 어떤 시대에서나 소수의 관객 앞에 놓인 작은 공간에서였다. 좌석 수가 200석 미만인 소극장에서는 관객이 방석 같은 데에 앉아서 보는 곳도 있지만 연기하는 사람과의 거리감이 없는 무대를 즐길 수 있다.

 

소방 계단실 firefighting stairway

소화용 주배관, 소방용 로비, 소방용 승강기(설치되었을 경우)를포

 

소음 방지용 고무판 rubber floor

공연시 출연자들이 등퇴장하는 통로의 바닥에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고무판.

 

소트아웃 sort-out

연계 동작이 가능한 장치 설치대.

 

소품 properties

무대에서 배우가 다루는 작은 물건. 소품은 중요한 시각적 요소가 된다. 무대장치의 일부로서 이미 무대에 있는 설치된 도구가 아니라 배우가 무대 안팎에서 연기를 하면서 들고 다니는 작은 물건. , 소품은 근본적으로 배우들이 무대에서 사용하는 작은 도구들이고 조명, 무대장치, 의상을 제외한 무대에서 움직이는 모든 것이다. (소도구는 일본 가부키 용어인 고도오구의 한자발음.)

 

소품관리원, 소품수 prop-man, prop-woman

공연의 제작이나 행사에 사용되는 소품의 반출입, 수선 등 관련 소품을 관리하는 사람.

 

소품 선반, 소품시렁 property shelves, property rack

소품을 보관하는 소품실 선반과 시렁.

 

소품실, 소도구실 property room

공연에 사용되는 소품을 보관하는 공간.

 

소품 제작실, 소품 제작소 property shop

공연에 쓰일 소품을 제작하는 공간.

 

소품 제작원 prop maker

공연에 필요한 소품을 제작하는 사람.

 

소품테이블 property table

1) 배우들이 들고 나가기 쉽도록 손소품들을 잘 배치해두는 무대 밖 테이블.

2) 공연시 무대 오른쪽과 왼쪽에 설치되어 소품을 정렬해 놓는 탁자.

 

소품팀 property crew

소품 스태프를 모아 부르는 말.

 

소품팀장 property master, prop master

한 공연의 소품 제작, 취급, 보관 등을 감독하고 관리하는 사람.

 

소화기 fire extinguisher

화재의 초기 단계에서 소화제가 갖는 냉각 또는 공기 차단 등의 효과를 이용해서 불을 끄는, 운반할 수 있는 기구. 여러 종류가 있으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것은 포말소화기(泡沫消火器분말소화기·할론소화기·이산화탄소소화기 등이다.

 

수석 무용수 balletmaster, balletmistress

무용단에서 무용수들을 이끌어 그들의 능력 및 수준을 향상시키는 책임을 가지고 있는 무용수. 현대에서 수석 무용수는 무용단, 발레단을 가르치고 연습시키는 등 무용단에서의 예술감독이라고 할수 있다.

 

수용 인원 accommodation limit

스태프나 배우 등을 제외하고 공연장에 수용할 수 있는 최대인원수 또는 공연장의 지정 면적. 공연장 등록증에 기록된 숫자를 말한다.

 

수전실 electric power room

공연장 건물로 유입되는 전기 전환과 비상 발전의 전력을 공급하는 공간. 공연장 전기설비의 보수, 유지, 관리 등의 업무를 하는 공간으로서 외부전압을 공연장용 전압으로 바꾸어 주는 변전기와 비상발전기 등의 전기설비가 구비되어 있다.

 

수정 작업 work notes

최종 연습 과정에서 발견되고 지적된 기술적 문제점들을 수정하는 작업. 대개 첫공연 전날이 최종연습이므로 첫공연(혹은 시연회)날 오전에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수직시각선 vertical sightline

시각선 확보를 위해 관객의 눈높이가 앞 좌석 관객 머리의 정상보다 위에 있도록 하여 무대가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렇게 배치하는 경우 뒤쪽으로 갈수록 바닥의 높이가 매우 높아지기 때문에 좌석을 격자 배치하는 방법이 활용되고 있다.

 

수평시각선 horizontal sight line

수직시각선 확보를 위하여 좌석을 경사지게 배치하는 경우 뒤쪽이 너무 높아지기 때문에 좌석을 격자로 배치하여 관객이 앞쪽 관객의 어깨 너머로 무대를 볼 수 의 위치가 측면으로 갈수록 수평시각선의 폭이 좁아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좌석의 배치를 주무대 중심을 향하도록 원호 모양으로 설치하고 있다.

 

순회감독 touring director

순회공연의 인적, 물적 자원을 총괄하여 감독하는 사람.

 

순회전문극단 touring company

프로듀싱 하우스의 반대 개념으로 사용되며, 전용 극장 없이 극단이 순회공연을 목적으로 작품을 제작하며, 대개 장기 계획에 의해 국내외를 순회하며 공연장을 찾아 공연을 하는 단체. 극장마다 지원 시설이 다르기 때문에 극단의 성격과 일치하고 규모가 맞는 극장을 구하기 어렵다. 그래서 단체의 예술적 목표가 맞는 프로듀싱 하우스와 제휴 또는 공동 제작을 꾀하기도 한다.

 

스따지오네 stagione

어떤 주어진 시간에 대한 공연 작품의 범위가 매우 작은 레퍼토리 형식. 이때는 각 작품의 리허설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공연이 긴밀하게 조합되어 이루어지며, 그 다음에 보관소로 옮겨진다. 이전 작품에 대한 리바이벌 역시 거의 새 작품과 마친가지의 리허설 과정을 거친다.‘스따지오네계절(season)’을 뜻하는 이탈리아어다.

 

스태프 staff

공연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문 인력. 일반적으로 공연에 참여하는 사람들 중에서 배우나 관객을 제외한 대부분의 사람들을 스태프라 한다.

 

스태프 룸 staff room

스태프들의 공연 준비와 정리를 위해 마련된 작업 공간.

 

스태프 테이블 staff table

무대 연습시 연출가와 공연 스태프들이 객석에 앉아 연습을 진행 할 수 있도록 객석의 일정 위치에 설치하는 테이블. 잘 갖추어진 극장에서는 전용 테이블이 있고, 인터컴 시스템(intercomm system)과 조명 모니터와 전등을 위한 배선이 해당 객석 아래에 매설되어 있다.

 

스톨석 stalls

객석 공간에서 무대 반대편 쪽 1층 정면의 좌석.

 

스파이크 spike

연습 장소나 무대 바닥면에 장치나 가구들이 놓이는 위치를 표시하는 것. 아직 무대장치가 세워지지 않았을 때 배우들의 동작선을 결정짓고 연습하기 위한 용도로 표시한다.

 

스폿조명기 spotlight

조명기구 내부에 렌즈, 미끄럼 램프소켓, 반사경 등의 구조로 되어 초점을 맞출 수 있으며, 빛을 모아 특정 위치나 구역을 집중적으로 투광하는 조명기구.

 

슬립석 slips

무대의 옆쪽 출입구 쪽에 위치한 좌석.

 

시각선 sightlines

1) 객석의 맨끝 좌석에서 보는 시야의 가상적인 선. 극단으로 치우친 좌석으로부터 무대로 이어지는 시야의 한계점들을 지적해준다.

2) 객석에서 관객의 눈으로 무대를 보는 시야의 가상적인 선. 관객의 시각선 확보는 객석의 설계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객석의 시선은 발코니 앞, 프로시니엄 아치와 같은 물리적인 장애물에 따라 그리고 좌석의 경사도와 배치에 따라 결정된다. 좋은 시선은 공연을 관람하는 데 있어서 시각선 상에 장애물이 방해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시연회 preview

공식 개막일에 앞서 최종 점검을 위해 대중에게 혹은 선택된 관객에게 공개하는 공연. 시연회는 기술적 준비가 완벽하지 못할 경우 연기되거나 취소될 수 있다. 요즘 시연회는 정상 입장료 전액을 받고 공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시연회 중 기술적 실수 등은 평가에서 용서되는 것이 관례이다.

 

 

아교 총, 글루건 glue gun

접착제인 아교를 총에 투입하여 사용하는 장치 제작 장비.

 

아래쪽 in

무대의 높이 방향을 가리키며, 무대 바닥에 가까운 쪽.

 

아래무대, 앞무대 down stage

뒤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무대 구조를 가진 옛 유럽식 극장에서 유래한 것으로, 무대 앞쪽을 가리키는 용어.

 

악기 보관실 musical instrument storage

공연에 사용되는 악기를 보관하는 공간. 일반적으로 피아노는 별도의 공간에 보관하며, 악기 보관실은 항온항습설비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오케스트라 단원 member of orchestra

악단에서 악기를 연주하는 일원.

 

악장 orchestra leader

악단의 인원과 활동을 감독하는 사람.

 

악보 넘기는 사람 page turner

피아노 연주시 연주자를 도와 악보를 넘기는 사람.

 

악보계 music librarian

오케스트라에 소속되어 악보를 준비하고 정리 및 보관하는 사람.

 

악센트 accent

장면에서 어떤 독특한 행위를 강조하는 것. 강조하는 방법으로는 조명 집중, 조명과 의상에서 색상의 변화, 덧마루나 계단 사용, 소도구나 가구에 인상적인 색상 사용 등이 있다.

 

안내 데스크 information desk

공연장 공간, 좌석 위치, 공연 일정 등을 안내하거나 프로그램 등을 판매하는 공간. 주로 공연장 로비에 위치하며, 매표소를 겸하는 경우도 있다. 안내소라고도 한다.

 

안무가 choreographer

무용 동작을 창작하고 구성하는 사람.

 

안전지역 place of safety

공연장에 발생한 화재로부터 안전한 대피장소. 이 지역은 건물 내부 및 주변의 사람들을 빠르게 분산, 소개시켜 공연장에서의 화재나 연기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도로나 개방 공간을 말한다. 안전지역으로 간주되는 개방 공간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a) 공연장 내부의 인원을 충분히 소화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확보하여야 한다.

b) 사람들이 공연장에서 발생한 화재 또는 화염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건물에서 충분히 떨어져 있어야 한다.

c) 공연장 내부나 혹은 공연장 근처를 통과하지 않고 공공도로로 탈출할 수 있는 수단이 있어야 한다.

 

안전책임자 head of health and safety

안전에 관계된 시설을 관리하고 사고를 예방하며, 위험 요소를 제거하는 일을 맡는 사람.

 

안쪽 on

무대의 너비 방향을 가리키며, 주무대의 가운데 방향으로 객석에서 보아 무대의 중앙 쪽.

 

암전, 블랙아웃 blackout

공연 중 무대의 조명이 모두 꺼지는 상태. 주로 조광기(dimmer)의 암전 스위치를 이용해 빠른 속도로 조명을 모두 끄는 것을 말한다. 극적인 긴장과 효과를 위해 음향효과 등과 함께 사용하는 조명의 한 방법으로, 관객들의 눈은 급격한 조도의 변화로 잔상과 함께 암순응의 과정을 거쳐 서서히 정상화된다.

 

암전환 dark change

공연 중 무대의 조명이 모두 꺼진 상태에서 장면이나 장치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 관객의 눈이 어둠에 익숙해지기 전 전환을 끝내는 것이 원칙이다. 시간의 경과, 장소의 변화 등을 보여주기 위해 사용할 경우 공연의 흐름이 끊어져 지루해지는 느낌을 줄 수 있다.

 

앞무대 front stage

프로시니엄과 오케스트라 피트 사이의 좁은 무대로, 공연 후 출연자가 인사하는 좁은 공간.

 

앞쪽 down

무대 깊이 방향을 가리키며 객석과 가까운 쪽.

 

애드리브 ad lib

즉흥적인 대사나 연주. 대사나 동작을 주어진 상황에 따라 즉흥적으로 창안해내는 것을 말한다.

 

야외 공연장 open-air theatre

야외에 고정 형태의 무대와 객석을 설치한 공연장. 객석과 무대, 스크린에 햇빛을 막아주는 지붕을 설치할 수도 있다.

 

어린이 child

4~5세의 어린아이부터 초등학생. 우리나라에서는 관련 법이나 기준에 따라 다소 혼재되어 사용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만 12세까지를 어린이로 하며, 서양에서는 만 16세 생일 이전까지 어린이로 본다.

 

얼터너티브 극장 alternative theatre

격식을 보다 많이 차리는 주류 극장을 대체할 만한 실험성을 지니고 있으며, 새로운 관객의 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극장. 본래 주변 극장으로 알려져 있었다. 얼터너티브 극장이 지니고 있는 이상과 아이디어 중에서 좋은 부분은 꾸준히 주류 극장으로 흡수되어 새로운 형식의 무대세트가 개발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에이프론무대 apron stage

프로시니엄무대의 면막 앞의 무대 지역. 표준용어는 앞무대.

 

연결다리 철수 over bridge out

무대에서 장치 설치 기간 동안 객석과 무대를 연결해 놓았던 연결 다리를 철수하는 것.

 

연기 act, acting

관객 앞에서 연극·곡예·가무·음곡 등의 재주를 나타내 보이는 일.

 

연기 경보 smoke alarms

연기를 감지하여 청각 경보를 주기 위한 모든 구성요소들을 하나의 케이스 안에 담은 장치.

 

연기구역 acting area

무대 평면에 그려지는 연기 공간. 이 범위 내에서 배우의 연기가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는 주무대 전체를 말하며, 세부적으로는 무대를 6구역 또는 9구역으로 나누어 구분하기도 한다. 무대구역 참조.

 

연기자, 공연자 performer

관객을 대상으로 자신의 신체를 매체로 음악, 무용, 연극 등의 창조적 노력을 표현하는 사람.

 

연소성 물질 combustible material

불에 탈 수 있는 물질.

 

연습, 리허설 rehearsal

공연 전까지의 연습 과정. 연습은 인물의 상황이나 목표물에 대한 연기자의 집중을 통해서 공연 중에 여러 감정들이 저절로 흘러나오도록 연기자의 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연기자가 공연 연습에서 연출자나 다른 연기자들과 함께 작품에 대한 해석이나, 무대장치, 의상, 분장, 조명을 완벽하게 갖추고서 연습해야 한다는 고정된 규칙은 없다. 그러나 일반적인 옷이나 물건들과는 뚜렷하게 구분되는 특별한 의상이나 소품들은 있어야 한다.

 

연습감독 rehearsal director

연습을 준비하고 감독하는 사람. 대개 조연출이 담당하는 경우가 많다.

 

연습무대 rehearsal stage

마루와 거울 등 연습에 필요한 여러 시설과 장비를 갖춘 큰 방.

 

연습실 rehearsal room

공연을 위해 배우들이 대사, 동작, , 노래, 연주 등의 공연 연습을 하는 공간. 각 장르에 따라 특별히 연습실을 구분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대규모의 인원이 동시에 연습하는 오페라나 오케스트라 연습실의 경우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이 밖에 무용, 발레 연습실은 무용수가 균형을 잡거나 스트레칭을 하기 위한 바(bar)와전 신거울 등이 준비되어 있어야 하며, 남녀 탈의실과 샤워실이 필요하다.

 

연주자 musician

공연에서 음악을 연주하는 사람.

 

연주자 휴게실

뮤지컬이나 오페라 공연에서 공연 전, 막간, 공연 후에 연주자들이 휴식하는 공간. 오케스트라 피트 가까이 있다.

 

연출가 director

예술 작품을 무대예술로 새롭게 창조하며, 대본을 검토하고 연기, 장치, 조명, 의상, 음악, 안무, 효과 등 각 부분을 일정한 예술적 의도에 맞춰 전체를 통합 조정, 무대에 올릴 때까지의 작업을 구체적으로 지휘 총괄하는 사람. 줄여서연출이라고도 하며연출자라고도 한다.

 

, 객석 block(seat)

객석 통로 사이의 좌석 그룹.

 

영사 기사 projectionist, projectronist

투사 장비의 조작을 전문으로 맡아 작업하는 사람.

 

영사실 projection room

영화 상영이나 무대에 배경을 비출 수 있도록 영사기를 설치하고 작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공간. 주로 객석 뒤 중앙에 위치한다.

 

영선실 maintenance room

공연장의 일반 시설을 수리(유지, 보수, 관리)하는 공간.

 

옆조리개 tormentor

프로시니엄 뒤의 첫 번째 다리막 혹은 다리판. 대개 영구적이며 이것을 좌우로 움직여 수평시각선과 개구부의 너비를 조절한다.

 

예술감독 artistic director

예술 단체나 공연장의 개별 공연 제작과 전체 프로그램의 예술적 방향성을 지휘, 조정하는 사람.

 

예술감독실 artistic director’s office

예술감독의 공연 준비·정리를 위해 마련된 작업 공간.

 

오 분 전! 5 minutes!

공연 시작시간 5분 전이라는 알림.

 

오케스트라 대기실 orchestra dressing room

오케스트라 단원들이 의상을 갈아 입고 입장을 대기할 수 있도록 마련된 공간.

 

오케스트라 박스 orchestra box

주무대 전방 아래에 깊이 놓여 있는 연주 공간. 바닥 전체나 일부를 조정할 수 있어 앞무대로 확장하여 사용하거나, 의자를 설치하여 객석으로도 이용 가능하다. 교향악단 편성에 따라 크기를 조정할 수 있으며, 보편적으로 모차르트식과 바그너식의 두 가지 편성이 있는데 오케스트레이션(Orchestration) 및 무대기계시스템과 관계가 깊다. 지휘자의 음악 해석에 따라서도 오케스트라 편성을 달리한다. 극장 건축시 오페라 전용 극장인 경우에는 베르디(Verdi)투란

도트(Turandot)’를 기준으로 한다. 4관 풀(full) 편성시의 면적은 160m2가 적절하며 3개의 단을 두고 내부는 검은색으로 마감하며, 음향적인 고려를 해야 한다. 녹음 공연이나 다른 장르의 공연시 객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오케스트라 준비 Orch. In Pit

연습 및 공연에 맞는 오케스트라 편성을 하는 것.

 

오케스트라 피트 orchestra pit

무대와 객석 사이, 앞무대 앞쪽 아래쪽에 관현악 연주를 위하여 별도로 제공하는 공간. 무대 전체를 공연에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연주 공간을 확보하는 방법으로 지휘자가 연주자와 무대 전체의 공연 진행을 모두 볼 수 있도록 무대와 객석 사이의 하부 공간을 활용하여 연주 공간을 둔다. 오케스트라 피트의 위치는 공연자 측에서는 매우 좋으나 객석과 무대의 거리를 멀게 하여 친밀감을 줄이는 단점이 있다.

 

오케스트라 피트 펜스 orchestra pit fence, orchestra pit rail

관객들이 오케스트라 피트로 추락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오케스트라 피트와 객석 사이에 설치하는 펜스나 분리벽.

 

오케스트라 휴게실 musician’s lounge

뮤지컬이나 오페라 공연에서 막간이나 공연 전후에 연주자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마련된 공간. 주로 오케스트라 피트 가까운 곳에 배치된다.

 

오퍼레이터 operator

공연시 무대기술 각 분야의 실제 공연 콘솔 조정자.

 

오페라극장 opera house

동적인 무대 전환이 가능하며, 공간의 음향적 특성이 음악을 중심으로 한 언어, 기악 연주나 노래 등의 표현에 알맞게 설계된 극장. 동적인 무대 전환이 가능하며 공간의 음향적 특성이 음악을 중심으로 한 언어, 기악연주나 노래 등의 표현에 알맞도록 설계된 극장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오케스트라의 연주가 병행되므로 오케스트라 승강무대가 설치된다. 출연자는 가수, 무용수, 코러스 등으로 구성되며, 큰 규모의 무대 연출을 위해 대형 무대 면적과 다양한 무대장치들이 사용된다.

 

올라갑니다 going out, fly out

장치봉이나 조명봉이 올라가니 조심하라는 말.

 

올리세요 go, fly out,

장치봉이나 조명봉을 올려 달라는 말.

 

외부 대피계단 external escape stair

대피 경로로 이용되는 건물 바깥의 계단.

 

우측무대 stage right

무대에서 객석을 향해 선 자리를 기준으로 무대의 우측 부분.

 

우측무대, 오른무대 right stage

공연자가 객석을 바라보는 관점에서 무대의 오른쪽 부분.

 

운전 on

기기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

 

움직입니다 moving

회전무대나 이동무대 등의 바닥장치가 움직일 테니 조심하라는 말.

 

원형공연장, 원형극장 arena theatre

공연을 위해 무대의 모든 면을 사용하는 자리 배열 건축 양식의 공연장. ‘theatre in the round’ 라고도 한다.

 

원형공연장, 계단식 공연장 amphitheatre

공연을 위해 무대의 일부 면을 사용하며, 부채꼴 모양으로 펼쳐지고 계단식으로 높아지는 자리 배열 건축 양식의 공연장.

 

원형무대 arena stage, theatre-in-the-round

관객이 배우의 연기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완전히 빙 둘러싸는 무대 조성 형식. 객석이 무대 주위를 둘러싼 형태의 무대. 아일랜드 스테이지(island stage), 센터스테이지(center stage)라고도 한다. 고대 그리스 극장처럼 객석이 무대를 원형 혹은 반원으로 둘러싸고 있으며, 프로시니엄 아치가 없는 무대이다. 원형무대의 시각선은 프로시니엄 극장보다는 한층 향상되었으나, 무대 형태는 장치가가 재래식 장치와 기술을 사용하기에는 여러 가지 제한이 있다. 연극의 친밀성과 구성상 커다란 무대장치가 없기 때문에 세밀한 장치가 더욱 중요하게 된다.

 

위생시설 sanitary accommodatioin

화장실, 샤워기, 욕조 등을 포함하는 일반 용어.

 

위쪽 out

무대의 높이 방향을 가리키며, 무대 천장에 가까운 쪽.

 

위치로! places!

공연 직전 배우들에게 개막 상태의 위치로 가 달라고 안내하는 말.

 

위험물질 dangerous substance

물리화학적 혹은 화학적 성질과 작업장에서 사용되거나 존재하는 방식 때문에 어떤 위험을 유발하는 물질.

 

윗무대 up stage

아래무대에 반대되는 말. 무대의 안쪽(뒤쪽)을 칭한다.

 

윗조리개 teaser

프로시니엄 뒤의 첫 번째 머리막 혹은 머리판. 대개 이것을 상하로 움직여 수직시각선과 개구부의 높이를 조절한다. 영구적으로 설치하며 가변 프로시니엄의 역할을 한다.‘grand valance’라고도 한다.

 

유도등 way guidance

정상 조명의 전원이 정전될 때 사용하기 위해 발광원을 전원에 의존하지 않으며, 대피 경로를 따라가면서 출구 표시, 출구 표지 및 중간 방향 표시와 함께 대피경로에 낮은 위치로 설치되는 발광 궤적.

 

유도등, 비상유도등 escape lighting

비상시 탈출 경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된 비상 조명.

 

유자격자 competent person

공연장 안전사고 예방 및 보호 대책의 수행을 적절하게 지원할 충분한 교육 및 경력, 또는 지식과 기타 자질들을 갖춘 사람. 공연장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유자격자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음악 연습실 music room

오케스트라나 악기 연주를 위하여 벽면에 흡음 및 차음 처리를 한 연습 공간.

 

음악감독 music director

공연에 필요한 음악적 요소 전체를 감독하고 책임지는 사람. 일반적으로 교향악단의 최고 책임자로 작품 선택 및 협연자 선정 등 음악 전반을 관장하는 직위를 말한다. 외국에서는 행정까지 책임지는 경우가 있다.

 

음악당, 콘서트홀 concert hall

음악만을 전문으로 연주하고 감상할 수 있게 설계된 공연장. 일반적으로 무대에서 연주를 하며, 다른 공연장에 비하여 객석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게 설계된다. 콘서트홀은 주로 부채꼴 형태나 아레나 무대 형태의 객석구조를 갖는다.

 

음향 경보기 alarm sounder

특이한 음향으로 급한 위험, 고장 등의 발생을 알리는 기기. 음성 경보시스템에는 벨, 확성기 등을 포함한다.

 

음향 기자재실 sound equipment storage

음향기기와 장치 등 음향 분야 기자재를 보관하는 공간.

 

음향 오퍼레이터, 콘솔 오퍼레이터 sound operator

공연 중 음향 콘솔을 조작하는 사람.

 

음향감독 sound director

디자인된 음향 계획의 실현과 작업을 지휘·감독하는 사람.

 

음향디자이너 sound designer

한 공연의 제작을 위해 소리의 개념을 이끌어내고 디자인하는 사람.

 

음향 설치 sound installation

음향장비들을 각 위치에 달고 설치하는 일.

 

음향시스템 acoustic system

무대와 객석 공간에서 공연 중 발생하는 음의 방사 특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무대기구.

 

음향제어실(조정실) sound control room

공연 음향을 조정하는 공간. 무대음향조정실이라고도 부른다.

 

음향 체크 sound check

음향 설치가 완료된 후 음향 시스템의 소리를 점검하는 일. 대단히 시끄러운 과정이라 다른 작업이 어려우므로 독립적으로 일정을 짜두는 경우가 많다. 무선마이크(wireless mic.)를 사용하는 경우, 모든 배우들이 차례로 무대로 나와 각자의 소리를 점검하는 음향 체크가 필요하다.

 

응급실 first aid room, emergency room

공연장에서 환자가 발생할 경우 응급 처치를 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어 놓은 공간.

 

의상관리실장 head of wardrobe, wardrobe manager

의상을 보관하고 관리하는 책임을 진 사람.

 

의상디자이너 costume designer

한 공연의 제작을 위해 의상의 개념을 이끌어내고 디자인하는 사람.

 

의상디자인보 assistant costume designer

의상디자이너 가까이에서 일하며 자료 수집, 스케치, 제작 감리 등의 일을 돕는 사람.

 

의상 목록 wardrobe plot

한 작품에 사용되는 모든 의상에 대한 배우별, 장면별 목록. 각 의상이 각 항목별로 자세히 분석되어 있다.

 

의상반 costume crew

의상 제작과 공연 중 관리를 맡은 작업자들.

 

의상실 wardrobe (room)

무대용 의상을 보관하는 방. 작은 공연장에서는 의상을 갈아입는 방으로도 활용한다.

 

의상 전문인 costume master(mistress)

공연에 사용되는 의상을 보관, 관리하며 필요한 경우 수선하는 사람.

 

의상 전환수 dresser

공연 중 연기자의 의상 전환을 돕고, 의상을 관리하는 사람.

 

의상 점검 costume parade

완성된 의상의 상태와 그 의상이 장치와 조명에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해, 배우들이 의상을 입고 줄지어 무대로 나와 움직이며 연출가와 디자이너들에게 확인시키는 과정.

 

의상 제작 costume making

의상 디자인을 토대로 무대의상을 제작하는 것. 극장 자체 제작과 외주에 의한 염색 및 기본 소재의 제작으로 구분된다.

 

의상 제작팀장 costume shop manager

의상 제작실과 제작반을 관리하는 사람.

 

의상팀장 wardrobe master, wardrobe mistress

공연 기간 중 의상 분야를 감독하는 사람.

 

의상 퍼레이드 costume parade

1차 총 예행 연습 전에 배우가 각 의상을 순서대로 입어 보임으로써 연출자와 디자이너가 의상 부문의 준비 상태를 점검하도록 하는 것.

 

이너 프로시니엄 inner proscenium

프로시니엄 아치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프로시니엄 아치 뒤에 여러 가지 형태로 만들어 세운 장치.

 

이동거리 travel distance

1) 이동 전 무대기구의 원위치로부터 기구가 이동하는 상대적인 이동거리.

2) 벽과 칸막이, 장치들을 고려하면서 공연장 안의 어떤 지점에서부터 가장 가까운 층 출구 또는 최종 출구까지 사람이 이동해야 할 실제 거리. , 파티션, 고정좌석 및 기타 설치물을 고려한다.

 

이동용 옷걸이 portable hanger

분장실 비치용이 아닌 이동용으로 분장실 복도나 분장실에 설치하여 출연자의 의상을 걸어 놓는 옷걸이를 말한다.

 

이동용 조명다리 movable lighting bridge

주로 작은 극장에 설치된 조명 다리. 공연에 따라 위치를 변경하여 조명기를 설치한다.

 

이산화탄소실, COCOstorage

특수 효과에 사용되는 CO가스와 용기를 보관하는 공간.

 

이차색 secondary colours

2개의 1차색을 혼합하여 만든 색.

 

이층 객석, 발코니석 balcony

이층에 마련된 객석 공간. 둥근 말발굽형으로 일층 객석 위로 돌출된 경우가 많다. 양쪽 옆부분의 발코니석은 사이드 발코니(side balcony)라고 부르기도 한다.

 

익스테리어 세트 exterior set

무대에서 옥외 장면을 표현하기 위해서 곁무대(wing)를 숲이나 빌딩, 나무 등으로 부분적으로 변화시켜 장치하는 것.

 

인증 certificate

해당 자격이 있는 자, 또는 기타 자격 보유자에 의해 충분히 평가한 후에 공식적으로 제출된 검사 및 요구 조건에 대한 만족을 입증 할 수 있는 보고서, 또는 공식 문서. 허가된 자에 의한 인증서는 유효 기간을 기록하여야 한다.

 

인지거리 viewing distance

신호가 확실히 보이고 그 신호를 이해할 수 있는 데 필요한 최장거리. 또는 문자만의 표지인 경우 확실히 보이고 쉽게 읽을 수 있는 최장 거리.

 

인화성 물질 flammable material

일반적으로 인화점이 21이하인 액체.

 

일반 리허설 general reahersal

드레스 리허설 전에 그 시점까지 준비된 상태에서 연습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 공연장 theatre

300~1000석 규모의 중공연장을 공연예술진흥기본법에서는 일반 공연장으로 분류하고 있다.

 

일반용 피아노 upright tuned piano

일반 연습용 피아노.

 

일층 객석(1층 객석) orchestra , orchestra seating , stall

1층에 마련된 객석 공간. 고대 그리스 극장에선 무대를 오케스트라라고 하였으나 그 부분이 르네상스 이후 점차 객석으로 변하여 이름이 남아 있다. 스톨은 영국 엘리자베스 시대 극장의 1층 객석이 모두가 서서 보는 입석(stand all)이었던 데서 유래한다.

 

in

무대영역으로 들어옴.

 

입석 standing room

선 채로 공연을 관람하는 자리.

 

 

작업 구역 working area

연기 구역을 둘러싸고 있는 모든 백스테이지 공간.

 

자동 화재 탐지 시스템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화재 생성물질을 자동으로 탐지하여 화재경보시스템에 신호를 보내는 수단. 화재 경고 참조.

 

자동 살수 장치 sprinkler

천장에 달아 놓은, 화재 발생시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물을 이용한 소화 설비.

 

자료실 archive room

공연과 관련된 예술 자료나 공연장이 속한 지역의 정보 자료 등을 보관하거나 열람할 수 있는 공간.

 

작곡가, 작곡자 composer

공연에 필요한 음악을 창작하는 사람.

 

작사가, 작사자 lyricist

뮤지컬이나 오페라에서 노랫말을 만드는 사람.

 

작업 책임자 chief dayman

극장 내의 주간 작업자들을 감독하는 사람.

 

작화가 scenic artist

움직이는 대상인 캐릭터를 제외한 배경을 그리고 채색하며 완성된 세트에 시각적인 특수 효과를 주는 사람.

 

작화 스태프 painter, scenic painter

작화팀의 일원.

 

작화팀 paint crew

장치를 작화하는 작업자들. 오려내기 장치의 외곽선 지정, 입체 질감 작업, 바닥장치에 장치 설치 위치의 표시 등의 작화팀의 일도 작업에 포함된다.

 

장면 전환 scene change, changeover

대본에 따라 무대 위의 세트가 바뀌는 것. 공연 성격에 따라 장면 전환은 막을 내리고 전환하는 경우와 공연 중 신속하게 전환하는 것으로 나뉜다. 전환 방법은 수동과 기계 전환으로 구분한다.

 

장신구 accessory

반지, 팔찌, 귀걸이, 노리개 등.소품과 달리 의상의한분야로 분류된다.

 

장애인석 handicapped person’s seats, disabilities

장애인 공연 관람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별도로 확보한 좌석 혹은 휠체어를 고정시켜 공연 관람에 불편하지 않도록 만든 공간. 휠체어 이용자를 위한 착석시설은 반드시 동반자 좌석을 함께 설치 해야 한다.

 

장치 모형 miniature

무대디자인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기 위하여 극장의 실물 크기를 축척에 의해 축소 제작한 것이다. 스탭회의 및 연출 과정에 필요한 연습용 모형과 작품을 구체화한 후 확정된 모형이 있다. 모형은 장치 제작시 중요한 표본이 되며, 공연시에는 관객의 작품 이해에 도움을 주고자 로비에 전시하기도 한다. 축척은 1/30, 1/50, 1/100로 한다.

 

장치걸이시스템 rigging system(rope)

무대 위에 설치된 장치걸이. 상하 움직임이 편하고 무대장치를 설치하여 공연시에 상하로 조정함으로써 장치 전환을 할 수 있다.

 

장치 반입구 loading dock

공연에 필요한 무대장치 및 설비를 무대로 반입하거나 무대에서 외부로 반출하는 통로. 공연장 외부에서 내부로 장치를 반입하는 진출입구를 말한다. 최근에는 대형 배경 장치를 트레일러에 실어 반입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장치 반입구의 크기를 크게 설정한다. 이때 내부에서 별도로 조립하지 않고 그대로 반입할 수 있는 크기로 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특히 장치반입구의 높이는 트레일러 내부 바닥의 높이와 맞춰 장치류를 수평면 상에서 무대로 곧바로 들여올 수 있는 동선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극장기술안내서에는 필히 장치 반입구의 크기를 명기해야 한다.

 

장치 보관실 scenery storage

각종 장치를 보관하는 공간. 공연을 위해 제작된 각종 장치나 공연 후 철거된 장치를 재공연이나 대여에 대비해 보관하는 공간으로, 주로 덧마루를 보관하기 때문에 덧마루 창고라고도 한다. 작품별, 종류별로 보관하며, 보관 시설은 항온항습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레퍼토리 극장은 대개 자체적으로 장치 보관소를 갖추고 있다.

 

장치스태프, 무대장치전문인 carpenter

제작된 무대장치를 조립, 설치, 전환, 수선, 철거하고 공연이 끝난 후 보관 및 관리하는 사람.

 

장치의 질감 matiere, texture

무대장치의 표면에 사용하는 물체는 질감이 깊어서 멀리에서 보아도 변함이 없어야 한다. 장치로서의 회화적인 그림이 보는 사람에게 적극적으로 환상이라는 것을인식시키는 표현인 것과는 반대로, 소재를 강조한 질감이 있는 장치는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모조품임을인식하게 하는 고도의 표현이다. 사실감을 가진 질감을 얻기 위해서는 회화적인 표현에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의 소재를 첨가해서 사용한다.

 

장치 전환 scenery shift

극의 내용에 따라 다른 공간을 보여주기 위해서 세트나 대소도구를 바꾸는 것.

 

장치전환수 shift crew

장치 전환 일을 맡은 작업자들.

 

장치 제작 scenery construction

디자이너의 디자인대로 세트를 만들고 조립하는 과정. 무대에서 가장 힘든 작업 중 하나이다.

 

장치제작감독 master carpenter

한 공연의 장치 제작 인력과 활동을 감독하는 사람.

 

장치제작도 construction drawing

장치 제작을 위한 도면.

 

장치제작실(장치제작소) scene shop, work shop

공연에 이용되는 배경 및 무대장치의 제작 공간. 장치의 반출입과 함께 제작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주로 무대나 장치 반입구 가까운 곳에 배치한다. 공간이 큰 경우에는 장치제작소라 하며, 보다 작은 공간은 장치제작실이라고 한다. 제작소(제작실)를 만들 때에는 항상 만들어진 장치를 어떻게 옮길 것인가를 고려해야 한다. 제작소(제작실)와 공연장이 먼 경우는 큰 장치 반입구가 필요하며, 제작소(제작실)가 공연장 안에 있을 경우에는 반드시 넓은 통로가 있어야 한다. 또한 방음에 대해 철저한 사전 고려가 필요하다. 국내의 경우, 대부분의 장치는 외부의 장치제작소(장치제작실)에서 제작하기 때문에, 공연장의 장치제작소(장치제작실)는 생략되거나 장치를 분해하고 조립하는 해체조립실의 역할을 하는 경우가 보통이다. 공연장이 크지 않은 경우에는 장치 제작과 작화, 시조립을 위한 작업공간으로서 목공실, 철공실 등을 포함한다.

 

장치 제작원 carpenters

책임 목수(master capenter)를 도와 무대장치를 만드는 목수. 국내에서는 책임 목수나 보조 목수 등으로 분류하지 않고 무대장치전문인으로 분류한다.

 

장치제작팀 scenery construction crew, building crew

장치 제작일을 하는 작업자들.

 

재현주의 representationalism

환영주의와 유사한 개념. 연극에서 현실의 모습을 가능한 한 무대 위에 재현하려는 태도를 가리킨다. 무대 위의 모든 사물에 그에 대응하는 현실의 것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에 토대를 두었다.

 

저녁 공연 evening performance

저녁 시간에 하는 공연.

 

적당히 안전한 장소 place of reasonable safety

사람들이 제한된 시간 동안 화재 및 연기의 영향으로부터 얼마간의 보호를 받는 건물 혹은 구조물 내부의 장소. 대개 복도 혹은 계단실인데, 최소 30분 정도의 내화성이 있어 사람들이 완전히 안전한 장소로 계속해서 대피할 수 있게 해준다.

 

전기실 electric room

공연장의 수배전과 전원 설비를 포함한 전기 설비가 갖춰져 있는 공간.

 

전망, 명전 a vista, in view

전망 혹은 길게 내다보이는 경치. 무대미술에서 3차원 배경을 사용하면서 vista의 개념이 사용되었다.

 

전시실

공연장 로비 공간과 벽면을 활용하여 전시물을 설치하는 공간. 주로 공연과 관련된 공연물, 공연장 관련 전시물 등을 전시한다.

 

전실 anteroom

로비와 객석을 잇는 두 겹 문 사이의 공간. 공연 중 관객의 출입시로비로부터 소음과 빛이 새어 들어오지 못하게 한다.

 

전체 연습 run through

연습 과정에서 연출이 장면을 끊지 않고 작품 전체를 시도해보는 것. 이때 작품 전체의 시간이나 등퇴장 및 기타 문제점을 점검한다.

 

전환 연습 cue and tech., rehearsal

출연진 없이 기술진만으로 이루어지는 기술 연습. 큐에 따라 장치와 조명의 전환을 집중적으로 연습한다. 안전한 기술 연습을 위해 출연진이 무대를 밟기 전에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과정이다.

 

정상 조명 normal lighting

건물 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일광이 부족할 때 정상적인 전원 공급 상태에서 작동하는 전기 조명. 정상 조명은 공연용 무대 조명, 순수한 장식용 조명, 비상조명 등을 포함하지 않는다.

 

4의 벽 fourth Wall

사실주의 연극의 박스 세트(Box Set)에서 설정한 가상의 벽. 관객은 이 벽을 통해 무대 위의 행위를 들여다본다. , 실제 상황의 4개의 벽 중 제거된 하나의 벽을4의 벽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극장에서는 프로시니엄 아치가 제4의 벽이 된다.

 

제거 kill

무대장치시 부적절한 무대장치나 배경막 등을 제거하라는 의사소통 용어.

 

제도 drawing, draft

공작물, 기계, 건축물 등의 도면이나 도안을 그려 만드는 일.

 

제도사 draftsman

무대디자이너의 시각적 계획을 도면으로 그리는 사람. 또는 장치 제작소에서 제작감독과 함께 디자이너의 작업 도면을 분석하여 제작도면을 그리는 사람.

 

제스처 gesture

손이나 팔의 움직임이 주가 되는 배우의 몸짓. 배우는 무대 위에서 의식적으로 혹은 무의식적으로 끊임없이 이러한 몸짓을 취하게 되는데, 이때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몇 가지 사항이 있다. 첫째, 배우는 자신이 취하는 몸짓이 자신이 표현해야 할 등장인물의 성격에 어울리는 것인지 고려해야 한다. 둘째, 취하고자 하는 몸짓이 모호하거나 자신이 말하는 것의 의미나 가치를 떨어뜨리는 것이어서는 안 된다. 섯째, 배우는 자신이 속해 있는 공간의 규모에 알맞은 크기의 몸짓을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사항들이 잘 고려된 몸짓을 할 때 배우는 자신의 역에 더 잘 맞는 효과적인 표현을 하게 된다.

 

제작감독 production manager

한 공연 제작의 예산과 일정, 기타 자원의 조정과 관리를 맡아 진행하는 책임자. 새로운 작품의 예산 작성과 일정 수립을 비롯한 전문적인 준비에 대한 책임과 관리 권한을 갖는다.

 

제작보 assistant producer

제작자 가까이에서 일하며 그의 업무를 돕는 사람.

 

제작스태프 production staff

공연 제작에 참가하는 스태프들. 그중에서도 제작회의에 참가하는 주된 스태프들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연출가, 무대미술가, 의상 디자이너, 조명디자이너, 제작무대감독, 안무자, 음악감독, 제작감독 등이 그들이다.

 

제작자 producer

예술 작품이나 창작물인 음악, 연극, 무용 등의 공연 작품을 만들고, 공연을 하기 위하여 작품, 출연자, 연출가 등을 섭외하고 공연을 기획하며, 재정적으로 공연에 따른 운영 예산과 제작 계획 수립 등의 책임과 권한을 가진 사람.

 

조광기기실 dimmer room

조명장치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춘 방. 일반적으로는 조명제어실에 조광기(dimmer)가 설치되어 있다.

 

조리개 teaser & tormentor

프로시니엄 개구부(proscenium opening)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추가로 설치하는 막 또는 판. 건축구조물로서의 프로시니엄 아치는 크기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공연 규모나 작품의 성격에 따라 프로시니엄 개구부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프로시니엄 뒤의 첫 번째 머리막과 다리막을 조합하여 사용한다.

 

조명 기자재실 lighting equipment storage

조명기기나 장비 등 조명 분야 기자재를 보관하는 공간.

 

조명 달기, 조명 걸기 hanging lights

달기 도면대로 조명기를 다는 일.

 

조명 오퍼레이터 board operator, lighting board operator

공연 중 콘솔을 제작하는 사람.

 

조명 포커싱 focusing

달기가 완료된 각각의 조명기를 켜서 디자인된 위치에 쏘아 맞추는 일.

 

조명감독 lighting director

디자인된 조명 계획을 실현하는 작업의 지휘·감독자.

 

조명기구 light instruments

무대상부 공간 또는 특정한 위치에서 빛을 비추어 공연의 효과를 높일 목적으로 만든 무대기구.

 

조명기사 lighting technician

조명 요소를 조작하는 사람.

 

조명디자이너 lighting designer

한 공연의 제작을 위해 빛의 개념을 이끌어내고 디자인하는 사람.

 

조명장치 luminaire

하우징 안에 램프를 설치한 형태의 조명장치를 통칭하는 용어.

 

조명제어실 lighting control room

무대조명제어실. 공연 조명(production lighting)을 조종 및 조정하는 공간.

 

조명팀장 chief electrician, head electrician, master electrician

조명기의 설치 및 확보, 회로 연결, 초점 맞추기부터 모든 조명장비의 보관 및 유지, 다른 요원들의 작업, 공연 중 조명장비의 운용 등을 책임지는 사람. 모든 장비는 조명구상도에 나타난 조명기들의 위치에 정확히 달아야 하고, 조명팀장이 점검해야 한다.

 

조심! look out!

움직이는 물체에 신체가 부딪힐 위험이 있을 때 알려주는 말.

 

조연출 assistant director

연출가의 업무를 지원하며, 예술적 작업 과정을 돕고, 연습 일정과 연출 대본을 만들고 관리하며, 연습에 필요한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는 일을 맡아 하는 사람.

 

조정실 control room

원활한 공연 진행을 위해 각종 장치를 조정하는 공간. 조정실은 보통 1층 객석의 뒤쪽에 위치하는데, 일반 관객석과는 분리되어야 한다.

 

좁히세요 make narrow

조명 면적을 좁히라는 말.

 

종합공연장 theatre complex

문예회관 정도의 규모로 건설되어 무대예술 이외에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건설한 공연장. 공연예술진흥기본법에서는 1000석 이상의 대규모 공연장을종합공연장으로 분류하고 있다.

 

좌석 seat

공연을 관람하기 위해 관객이 앉는 자리.

 

좌석 등급 class

좌석의 위치와 목적에 따라 좌석에 매겨진 등급. 공연장의 객석은 공연을 관람하는 개별 좌석의 위치에 따라 공연을 보는 감흥의 차이를 느낄 수 있는데, 객석의 규모나 공연의 성격에 따라 그 차이가 더 커질 수 있다. 따라서 공연을 감상하기에 가장 좋은 위치와 그렇지 못한 위치의 좌석이 존재한다. 관람료가 고가인 경우나 대극장의 경우 관객의 입장에서도 좌석 등급에 따른 관람료의 차등 적용이 필요하다. 공연장마다 좌석 등급을 매기는 방식은 차이가 있으나 R(royal), S(special), 1등석, 2등석으로 구분한다. 극장의 형태에 따라 오페라극장의 경우 발코니석과 같은 좌석이 존재하기도 하고, 공연의 성격에 따라 S석의 위치가 달라지기도 한다. 제작자는 좌석 등급에 따라 티켓 가격을 달리해 관객의 선택의 폭을 넓히며, 효율적인 티켓 관리를 위해 좌석 등급제를 사용한다.

 

좌석 배치도 seating plan, seating map

객석을 층, , 번에 따라 표기하여 좌석의 배치 현황을 보여주는 도면. 고정된 객석 또는 지정 좌석을 사용하는 극장에서 효율적인 관객 안내와 티켓 발매를 위해 사용하는 도표로, 안내용 도표는 관객의 시선에서 무대와 출입문, 층별로 일목요연하게 도식화한 안내도로 만들어진다. 티켓 발매를 위한 도표는 제작자의 입장에서 티켓 판매와 그 현황을 알려주는 도구로 사용된다. 근래에는 점차 전산화 하는 추세이다.

 

2) 관객이 객석 통로(gangway)나 출구로 나가기 전에 걸어가는 좌석 열 앞의 바닥. 좌석 통로의 폭은 팔걸이와 정면 좌석의 뒤 또는 정면의 칸막이를 포함하는 좌석 정면에서 떨어지는 수직선 사이의 거리로 정의한다. 좌석이 자동으로 접히는 경우, 좌석 통로의 폭은 좌석이 접힌 위치에 있는 경우 팔걸이를 포함하는 좌석의 최고 돌출부에서부터 측정한다.

 

주무대 main stage

실제 공연이 이루어지는 공간. 면막에서부터 하늘막 앞쪽까지의 무대공간을 말한다.

 

좌석 통로 seatway

1) 앞뒤 좌석열 사이의 통과 폭. 좌석 통과 폭은 한쪽 열에 앉은 관객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정도의 공간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한쪽 열의 좌석 수에 따라 폭의 크기가 결정된다.

 

주무대 소음 차단문 sound door

주무대 3면을 차단하는 문. 공연 중 무대 소음 차단 및 방화 차단, 그리고 음향의 반사 기능을 한다. 이 차단문이 있기 때문에 공연 중이라도 좌, , 뒷무대에서 연습과 장치 설치가 가능하다.

 

주최자 대기실 producer’s room

분장실 쪽의 주최자 대기실.

 

주최자 사무실 producer’s office

로비 측에 설치되는 주최자를 위한 사무실.

 

준비 ready

3단계 큐의 둘째 단계.

 

(객석) row of seat

좌석이 옆으로 늘어선 줄.

 

중간막 drop curtain

주무대 중앙에 설치된 막. 장면 전환시 활용된다.

 

중앙무대 center stage

주무대를 좌우로 나누었을 때의 중앙 부분.

 

중앙제어실 central control room

공연장 건물 내의 모든 설비에 대한 제어·감시·통제를 담당하는 곳. 건물 내 공간 전체의 보안·관리에 이용되는 공간.

 

중층무대 Mezzanine

1) 건축구조에 있어서의 중이층(中二層)과 같이 무대에 중앙 2층집 장치로 구성한 것.

2) 미국의 경우 2층 정면 객석을 의미함.

 

지하층 basement

건물의 한 바닥면이 어떤 지점에서, 바깥쪽 벽들에 인접한 가장 높은 지반면 아래로 1,200mm 이상 낮은 층. 지하층은 충분하고 독립적이며 분리된 대피수단이 없는 조건이며, 대피 목적만을 위한 경우는 충분하고 독립적이며 분리된 대피 수단을 갖춘다.

 

지휘대 conductor podium

음악회나 오페라 공연시 지휘자가 지휘하는 단. 지휘자의 키에 따라 높이를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 오페라 공연시에는 기계식으로, 음악회의 경우에는 계단식으로 사용한다. 높이는 15cm단위로 하며 뒷면에 안전장치를 하는 경우도 있다.

 

지휘자 conductor

관악기, 현악기 및 타악기의 연주 악단을 지휘하는 사람. 뮤지컬이나 오페라에서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는 사람으로 특히 오페라에서는 악보의 수정, 캐스팅을 좌우한다.

 

지휘자 악보 full score

연주되는 모든 악기의 악보가 함께 들어 있는 것. 보통 오케스트라 총보라고 한다.

 

직접거리 direct distance

벽과 칸막이, 비품을 무시하고, 바닥 면적 이내의 어떤 지점에서부터 가장 가까운 층 출구 또는 내화성 경로까지 가장 가까운 거리.

 

진행 스태프 running crew

공연 진행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스태프. 무대 스태프를 포함한다.

 

진행거리 going

1) (계단 하나에서) 디딤면의 앞에서 뒤까지의 거리.

2) (계단 전체에서) 계단에 의해 이동하는 수평거리.

 

집중 조명 설치대 top light flies

주무대 상부에 설치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한 집중 조명 설치대.

 

 

천막 공연장 tent theatre

서커스 등의 공연을 위해 천막으로 만든 공연장.

 

천장 채광창 haystack lantern-light

분리형 무대상부에 설치하여 바깥으로 향하는 개구 섀시를 갖는 자연 통풍식 채광창. 특히 건초더미를 닮은 형태의 채광창을 말한다.

 

천장 몰딩, 코니스 cornice

서양식 건축 벽면에 수평의 띠 모양으로 돌출한 부분. 고대 그리스신전에서 볼 수 있다.

 

천천히 easy

움직이는 장치봉이나 조명봉, 혹은 전환 장치가 공연 위치에 가까워질 때 천천히 움직이라는 말.

 

철거, 치우세요 strike

장치나 소품을 무대 위에서 치워 달라는 말.

 

철공실 metal workshop

철제로 된 장치나 소품 제작을 위한 작업 공간.

 

철수 strike

무대 스태프들이 사용하는 의사소통 용어. 마지막 공연이 끝난 후 장치, 조명, 의상 등 모든 것을 치우는 행위를 말한다. 장치 철수는 단순한 철거뿐만 아니라 재사용을 위해 그것들을 보관하는 작업도 포함된다.

 

첫공연 first performance

첫 공식공연.

 

청소년 youth

어른과 어린이의 중간 시기. 우리나라의 청소년 기본법에서는 9세에서 24세까지의 나이를 말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13세에서 18세까지를 말하며, 흔히 사춘기를 겪고 있는 시기를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외국, 특히 서양에서는 만 16세 이상 19세 이하의 사람을 말한다.

 

총연습, 드레스 리허설 dress rehearsal, preview

의상과 분장을 모두 갖춘 상태에서 공연 전에 마지막으로 연습하는 시연회. 무대기술에서는 장치와 채색, 소도구와 의상, 조명의 초점 맞추기(focussing)가 완료된 상태에서 공연과 똑같이 시연되어야 한다.

 

총연습실 dress rehearsal room, final rehearsal room

공연 전에 마지막으로 연습하는 연습실. 총연습을 위해서는 가능하면 주무대와 동일한 규모의 연습실을 갖추는 것이 좋다.

 

최종 연습 final dress rehearsal

마지막 총연습.

 

최종 출구 final exit

건물 안에서 안전한 장소(외부)로 이어지는 탈출 경로의 최종 출구.

 

추가 기술 조항, 기술요구서 technical rider

연출, 무대의 디자인 등을 위하여 필요한 무대의 기술 정보.

 

축광 테이프, 표시 테이프 marking tape, spike tape

바닥 표시에 사용하는 눈에 잘 띄는 접착 테이프. 암전을 위해서는 축적한 빛을 어둠 속에서 발산하는 축광 테이프(흔히 야광 테이프라고 한다)를 쓴다.

 

out

무대영역에서 벗어남.

 

출구 표지 exit sign

비상시에 건물의 외부로 나가는 길을 표시하는 신호.

 

출구() exit door

사람이 점유하고 있는 방이나 특정 공간으로부터 나올 수 있도록 만든 문이나 개구부.

 

측면 가리개 fascia boards

장치 조립에서 측면을 가리기 위해 설치하는 장치. 천이나 합판에 채색을 하여 사용한다.

 

측면 장치 설치대 panorama machine flies

주무대 상부 좌우측 세로로 설치된 장치대. 무대장치, U형 하늘막, 조명기 등을 설치할 수 있다.

 

측면 투광실 box boom, side light booth

객석 공간의 양쪽 측면에서 무대 쪽으로 투광하기 위하여 측면 벽내부에 조명기구를 설치할 수 있도록 만든 공간.

 

측무대 side stage

주무대의 좌우측 옆면에 위치한 무대공간. 원활한 장면 전환을 위한 이동무대(stage wagon)를 설치하기도 하며, 장치 제작, 출연자 대기, 무대장치가 대기하는 곳으로우측무대’,‘좌측무대로 구분한다. 대규모 공연장의 경우 좌우측에 각각 주무대 크기의 공간을 두어 장면 전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층의 출구 story exit

방호 복도, 방호 계단, 소방용 로비 또는 외부 탈출로로 이어지는 최종 출구 혹은 출구의 문. 보호 계단실, 방화 로비, 또는 외부 대피 경로와의 직접 접근 수단을 제공하는 최종 출구 또는 출입구를 말한다.

 

 

카펫컷 carpet cut

바닥 깔개로 다운스테이지 끝 부분을 덮는 데 사용되는, 무대 앞쪽을 따라난 좁은 트랩.

 

칸막이 벽 또는 바닥 compartment wall and/or floor

화재 공간들을 서로 격리시키는 내화성 벽 또는 바닥.

 

커튼콜 curtain call

공연이 끝난 후 출연진들이 관객의 박수에 답하여 다시 무대로 나오는 것.

 

컷아웃 cutout

장치를 제작할 때 배경이나 벽면 등의 일부분을 미적 요구나 특별한 의도에 따라 생략하는 것.

 

call

1) 작업 회의에 대한 통지. 리허설 콜(rehearsal call)이라고도 한다.

2) 입장해야 할 순간에 즈음하여 배우를 무대로 부르는 것.

3) 관객들의 박수에 대한 감사. 커튼콜(curtain call)이라고도 한다.

 

퀄리티 컨트롤 시스템 quality control system

단체가 프로그램을 제작할 때, 단체의 성격과 설립 취지에 맞는 공연을 하기 위해 대개 제작자나 기획자가 프로그램 선정에서부터 제작 과정의 책임을 맡게 되는데, 비영리 단체나 큰 조직의 경우 운영의 문제는 감사기관이나 이사회에서 맡게 된다. 프로덕션 시스템으로 제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특히 공연자(예술작업자)를 단체의 소속이 아닌 외부에서 섭외해, 계약에 의해 구성하는 경우에는 프로그램의 퀼리티를 조정할 수 있는 장치가 단체에게 있어야 한다. 아직까지 단체에서 구체적인 시스템을 갖추고 있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계약시 계약서에 명시된 조건으로 제재를 하는 정도이며 제작자가 최종적인 퀼리티를 조절할 수 있는 열쇠를 갖고 있다. 제작비나 흥행 결과에 대한 책임을 실제 작업자가 아닌 제작자가 대부분져야 하는 프로덕션 시스템에서 프로그램의 퀼리티에 대한 최종적인 조정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나 장치의 필요성은 더욱 요구된다.

 

cue

배우나 감독에게 다음 대사나 동작을 알려주려는 목적으로 사전에 준비해 둔 신호의 시작을 알리는 것.

 

크루 stage crew

연극제작에서 뒷무대(back stage)의 일을 하는 사람들. 무대감독의 지시에 따라 무대 운영을 돕는 극장에서 일하는 분야별 스텝을 총칭한다. 작업에 따라 분야별로 여러 명의 보조원을 두고 있으며, 공연에 따라 10명에서 30명의 무대요원을 필요로 한다. 규모가 큰 극장에서는 작품별 3부제, 4부제로 작업팀을 구성하여 운영한다. 가공된 벽 표면이나 어떤 고정된 장애물 사이에 바닥 평면을 기준으로 1,500mm 높이에서 측정한 탈출경로의 장애물이 없는 폭. 난간은 탈출경로 위로 100mm 이상, (string)이나 굽도리(skirting) 등도 30mm 이상 튀어나오지 않는 한 무시할 수 있다. 난간은 100mm 이상 튀어나와도 되지만, 100mm를 넘는 돌출은 탈출경로의 폭에서 감소분으로 처리하여야 한다.

 

 

토핑앤테일링 topping and tailing

기술 리허설에서 큐와 큐 사이의 대사와 연기를 생략하는 것.

 

톨레스코프 tallescope

조정 가능한 받침 아래에 바퀴가 달린, 수직 방향의 합금 사다리.

 

통로(좌석 사이의 통로) gangway

좌석에서 출구까지 막힘없이 개방되어 있는 객석 사이의 통로. 객석에서의 최소 통로 폭은 좌석 수에 따라 소방법에 의해 규정되며, 관객이 최대한 빨리 대피할 수 있도록 그 폭을 결정한다.

 

특수 효과 오퍼레이터 special effects operator

공연 중 특수 효과 기기를 조작하는 사람.

 

특수 효과 담당 special effects technician

공연에 사용되는 각종 특수 효과를 고안, 제작하는 사람.

 

특수 효과팀 special effects crew

특수 효과를 실행하는 작업자들.

 

퇴장 bump out

호주에서 사용하는 표현으로 퇴장이라는 의미로 사용하는 용어.

 

투시창 vision panel

내부 공간 점유자가 접근 공간의 화재를 초기 단계에 알아차리게 하기 위해 내부 공간의 벽이나 문에 붙인 투명 패널.

 

특수 효과 special effects

공연에서 보통의 위험 수준을 넘어서는 부가적인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장치나 효과. 특수 효과에는 불꽃놀이, 레이저, 스트로브 조명, 실제 불, 자외선 조명, 드라이아이스, 액화질소, 가열된 기름 등에 의한 안개나 연기 등을 포함한다.

 

 

파괴 소품 breakaway property

던져서 깨뜨리는 병이나 부서지는 의자처럼 공연 중 파괴되는 소품. 안전하게 파괴되어야 하며, 경우에 따라 다음 공연을 위해 원상복구되어야 한다.

 

파노라마 라이트 panorama light column

무대 양측면의 갤러리에 가이드를 수직으로 고정시키고, 가이드를 따라 위아래로 이동하면서 측광을 비출 수 있도록 제작한 틀 구조물. 측면 조명 설치대라고도 한다.

 

파일럿 라이트 pilot light

무대감독이나 다른 스태프들이 공연 중에 큐시트(cue sheets)를 보기 위한 조명기.

 

페일세이프 fail-safe

장치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부가적인 방법으로 장치 또는 그 기능이 안전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일반적으로 2중계라고도 한다. 페일세이프는 다음과 같은 사례가 있다.

1) 전기 고장이 발생한 경우, 움직임이 제어에 의해 정지되어야 한다.

2) 전기적인 또는 기계적인 고장이 발생한 경우, 개폐장치는 방화문을 폐위치로 풀어 놓는다.

3) 전기적인 또는 기계적인 고장이 발생한 경우, 자물쇠를 열어 놓는다.

 

포멀 장치 formal setting

한 무대 위에 여러 장소가 있으나 각 장소의 구체적 위치는 나타나 있지 않으며, 배우의 행위나 대사에 따라 장소를 알 수 있는 장치. 가끔 변화를 주기 위하여 이동 가능한 최소한의 장치를 사용하기도 한다.

 

포이어 foyer

공연 전후나 막간에 관객들이 차를 마시거나 환담하며 쉴 수 있도록 만든 휴게 공간.

 

포토 콜 photo call

사진 촬영을 위한 연습. 부분적으로 장면을 만들어내는 경우도 있으며, 촬영에 필요한 만큼 조명이 달라지기도 한다.

 

표시, 바닥 표시 marking

무대 바닥에 변경 작업시의 배경과 소품 배치를 돕기 위해 조그맣게 표시를 해 두는 것. 임시적인 표시를 위해서는 테이프를 이용하고, 그보다 오래 사용되는 표시를 위해서는 페인트를 이용한다.

 

표시하세요 mark it, trim it

움직이는 장치봉이나 조명봉, 혹은 전환 장치가 공연 위치에 일치하였을 때 표시해 달라는 말.

 

프로덕션 시스템 production system

제작자나 기획자를 중심으로 공연이나 행사를 기획한 후 그 프로그램에 적합한 공연자를 섭외해 계약을 통해 목표를 이루는 제작방식. 연극이나 공연물이 예술품이나 작업자들의 창조적 작업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관객과의 관계 속에 존재하는 하나의 상품이기도 하다는 인식이 널리 퍼지면서 그 진가를 발휘하게 되었다. 연극이 문화산업의 한 분야로 급속히 분화하고 전문화되고 있는 지금, 제작비 조성과 홍보 등 기획과 경영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프로덕션 시스템은 단원제나 동인제 형식으로 구성된 극단 중심의 제작 방식과 대비되는 개념이다.

 

프로시니엄 proscenium, portal

객석과 무대를 구분하는 액자형의 틀. 가변식으로 사용하는 경우, 조리개와 같이 주무대의 폭과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프로시니엄은 무대가 갖는 제4의 벽으로, 관객과 접하는 면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프로시니엄은 관객과 무대 사이의 벽면에 큰 사각형 구멍을 내 액자 프레임과 같은 형태로 배치하고 조명을 집중시켜 관객의 시선과 신경을 한 곳으로 모으는 시각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공연에서 관객에게 보일 필요가 없는 부분들을 완전히 가려주는 역할도 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시니엄은 무대와 객석을 분리하는 구역 분할 장치나 분리 벽으로 인식된다. 프로시니엄 개구부는 시각적으로 보기에 적합한 4:3의 비율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다. 공연의 종류나 특성에 맞추어 프로시니엄의 개구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가변식 포털을 설치하며, 유사 프로시니엄(false proscenium)을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프로시니엄 개구부 proscenium opening

객석과 무대 사이에서 관객이 무대를 바라보는 사각 틀 가운데의 뚫린 부분.

 

프로시니엄 무대 proscenium stage

프레임 구조의 시각적인 제한을 통하여 무대와 객석이 분리된 무대. 관객은 한쪽에 앉도록 배치되며 그 반대쪽에 무대가 설치되고 무대 앞에는 프로시니엄이 배치된다.

 

프로시니엄식 공연장 proscenium theatre

무대와 객석이 프로시니엄에 의해 건축적으로 분리된 공연장. 관객이 무대 쪽으로 향해 하나의 블록을 이루며 앉게 되는 전통적인 극장 형식으로, 관객과 무대 사이가 분명하게 분리된다.

 

프롬프터 prompter

공연 중 배우나 출연자가 대사나 가사를 잊어버릴 경우 프롬프트 박스에서 즉시 알려주는 사람.

 

프롬프터 박스 prompter box

무대 정면 중앙에 사람이 들어갈 피트를 만들고 무대 쪽으로 뚫린 공간. 최근에 건립되는 공연장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추세이다.

 

프롬프트 북 prompt book

프롬프터용 대본. 공연 연습 때의 동작선이나 몸동작, , 등을 적어 놓는 노트를 말한다. 특히 대본이나 악보의 마스터 카피로, 이는 배우의 모든 동작과 기술상의 큐를 담고 있어 무대 관리부에서 공연 관리를 위해 사용한다.

 

프롬프트 사이드 prompt side

무대감독이 공연을 진행시킬 수 있는 공간. 보통 오른쪽 측면에 위치한다.

 

플라이 갤러리 fly gallery

핀 레일(pin rail)을 원래의 덧마루 위에 만들어 무대 바닥으로부터 약 6m(20피트) 정도 올려 이루어진 공간. 요즘은 보통 1m(3피트) 정도로 높이가 낮아졌으며, 무대 한쪽에 위치해 있다.

 

피난처 refuge

휠체어 사용자 및 기동성 장애자가 비상 탈출 때 관리 지원을 기다릴 수 있도록, 탈출 경로로 즉시 열리는 방호 복도, 방호 로비, 또는 방호실 내의 장소.

 

피난 출구 exit

화재 등의 재난이나 사고가 발생했을 때 안전한 피할 수 있도록 연결된 출입구. 모든 시설이나 건축물에서와 마찬가지로 공연장의 객석 공간에도 피난 출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건축법에서는 300m2 이상인 공연장에서의 출구 기준을 다음과 같이 정하고 있다.

1) 관람석별로 2개소 이상 설치할 것.

2) 각 출구의 유효 너비는 1.5m 이상일 것.

3) 개별 관람석 출구의 유효 너비 합계는 개별 관람석의 바닥 면적 100m2 마다 0.6m의 비율로 산정한 너비 이상으로 할 것.

 

피난통로 means of escape

공연장 안의 어디서나 관객이 안전한 장소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피난경로 혹은 피난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적인 수단. 보통 보호복도 또는 보호계단을 말한다.

 

피봇무대 pivot stage

폭이 좁고 이동 가능한 두 개의 무대. 밑면에는 페러렐이 장치되어 있고 피봇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장치는 장면을 빠르게 전환시킬 수 있어서 회전무대나 승강기능이 있는 무대에 사용된다.

 

피아노 리허설 piano rehearsal

뮤지컬이나 오페라에서 전체 오케스트라 대신 피아노만으로 반주하는 총연습.

 

피아노실 piano room

공연에 사용되는 피아노를 보관하는 공간.

 

피아노 창고 piano storage

건반악기인 피아노 챔벌로 등을 보관하는 장소. 항온항습설비를 해야 하며, 보관시 온도는 18~20, 습도는 55~60%가 적당하다. 피아노 창고를 설계할 때는 피아노 크기를 고려하여 문과 방의 크기를 정해야 하며, 위치는 무대 가까운 곳에 두어야 한다.

 

피트석 pit seat

오케스트라 승강무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오케스트라 피트 설치 위치에 가변으로 설치하여 사용하는 좌석.

 

 

하강 down

기구가 높은 곳에서 아래를 향하여 내려옴.

 

합창 지휘자 choir conductor

노래나 다수의 화음을 아름답게 연출하기 위하여 합창단을 지휘하는 사람.

 

합창단 chorus

다수의 인원이 모여 함께 노래 부르거나 화음을 연출하는 단체. 대중, 청중에게 예술적 감동과 즐거움을 주기 위해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등으로 분담하여 합창곡을 부르거나 화음을 연출하는 집단이다. 고대 그리스의 디오니소스 축제에서 춤과 합창을 하던 일단의 예배자들이라는 용어에서 유래되었다.

 

합창석 choir seat

공연 중 합창단이 앉는 공간. 음악 전용 공연장에 주로 있으며, 합창단이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객석으로 쓰기도 한다.

 

합창용 단 riser

합창 공연시 사용되는 계단. 설치 이동이 용이해야 하고, 바닥은 카펫으로 마감해야 한다.

 

헤드(-) head(-up)

위쪽에서 무언가 떨어질 것이라는 경고. 미국에서 쓰는 구어체 용어.

 

홍보 매니저 publicity manager

공연 작품이나 공연자의 특징과 장점을 포함한 다양한 내용을 일반인들에게 홍보하는 담당자.

 

홍보부장 press manager, officer, PR manager

공연이나 연기자의 홍보와 선전, 광고를 관리하는 사람.

 

화장실 lavatory, restroom, toilet

1) 수세식 변기(좌변기: water closet)와 소변기(urinal)가 설치된 공간. (lavatory)

2) 공연장 이용자들의 용변 장소. (restroom)

3) 세면기가 설치된 화장실. (toilet = lavatory + wash basin)

 

화재 경고 시스템 fire warning system

화재의 존재를 사람들에게 경고하는 수단. 자동화재 탐지시스템 참조.

 

화재 경보 fire alarm

공연 중 화재 발생시 울리는 경보. 경보가 울리면 방화막으로 무대와 객석을 차단하고, 무대감독은 즉시 안내방송으로 출연자와 스탭, 그리고 관객에게 화재경보를 알리고, 비상대책을 강구하여 비상구로 안전하게 유도해야 한다.

 

화재 안전 책임자 responsible persons

최종적으로 화재 안전을 책임지는 사람.

 

화재 안전 대책 fire safety strategy

화재 위험도를 경감시켜 화재 발생시 사람들의 안전을 보장하도록 입안되고 조정된 일련의 계획.

 

화재위험지역(무대) stage fire risk area

장치 보관소, 장치 제작실, 무대하부, 무대와 관련된 일을 하는 직원의 방이나 기타 방을 포함한 무대와 객석 공간. 무대 화재 위험 지역은 최소 한 시간 정도의 내화성을 보장하는 구조물을 이용하여 보호되어야 하며, 공연장의 다른 공간들과 구분되어야 한다.

 

환영 illusion

관객이 무대 위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들을, 꾸며낸 연극이 아니라 정말 자기 눈앞에서 벌어지고 있는 현실이라고 믿는 착각. 때로는 더 정확하게 현실의 환영(illusion of reality)이라고 일컬어지기도 한다.

 

환영주의, 환영주의적 illusionism, illusionistic

연극에서 환영을 추구하는 것으로, 무대 위에서 벌어지는 일들이 연극이 아니라 현실인 것처럼 관객에게 보이도록 연극을 만드는 것. 따라서 모든 시청각적 요소를 가능한 한 실제 인생의 모습과 닮게 만듦으로써 환영주의를 실현한다. 르네상스 이후에 생겨난 것으로 사실주의 내지 자연주의의 극단적인 형태라고 할 수 있다. , 사실주의와는 구별되어야 한다. 사실주의는 19세기 후반에 대두한 특정 사조를 가리키는 말이며, 환영주의는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연극에 대하여 그 특성을 설명할 때 적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용어이기 때문이다. 가령, 르네상스 이후의 신고전주의 연극도 환영주의라고 일컬을 수 있고, 본문에도 언급되어 있듯이 상징주의의 공연 방식도 환영주의적이다.

 

환형무대 ring stage

대형의 동심원을 안쪽과 바깥쪽에 2조로 나누어 각각 독립적인 회전기구를 갖춘 회전무대.

 

활대 boom

대개 스포트라이트를 올려 놓기 위한 비계에 사용되는 굵기의 세로로 세워진 막대.

 

효과 영사기 effects projector

특수 효과를 위해 특수하게 제작된 영사기.

 

효과음향 sound effects

공연에 필요한 음향을 무대 밖에서 내주는 것. 종소리, 폭발음, 천둥소리 등이 여기에 속한다. 효과음향은 여러 가지 물체를 이용하여 낼 수도 있고, 녹음된 것을 내보낼 수도 있다.

 

후면무대 up stage

무대의 깊이를 양분했을 때 관객으로부터 먼 무대. 표준어는 윗무대이다.

 

후무대 rear stage

1) 주무대 뒤쪽의 무대구역으로 하늘막 뒤의 무대공간. 뒷무대는 주로 공연자의 이동이나 영상을 비추는 거리의 확보, 장치 전환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된다. 보통 장치 반입구와 연결되어 있다.

2) 4면무대에서는 주무대 뒤쪽에 위치한 무대공간으로, 원활한 장치 전환을 위해 주로 이동 무대나 이동형 회전무대가 설치되어 있는 무대.

3) 뒷무대라고도 부르나 무대 뒤 등과 혼동되기 때문에 후무대로 통일하는 것으로 한다.

 

후진 backward

현재 위치에서 뒤쪽으로 이동.

 

 

 

 

무대예술용어집(무대일반-기계-장치).pdf
9.49MB

'화면해설작가 > 단어설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어24> 탈  (0) 2023.07.29
<단어23> 보료  (0) 2023.07.29
<단어 21> 권투 용어  (1) 2023.05.30
<단어 20> 뼈  (0) 2022.11.06
<단어 19> 동물, 새 이름  (0) 2022.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