갓
한자로는 립 笠 이라고 해서 삿갓이란 뜻. ~립 라고도 부른다.
갓도포 차림 : 갓을 쓰고, 도포를 입은 기본 차림.
고려시대 방립
조선시대 흑립. 패랭이와 초립의 단계를 지나 정립된 갓. 사대부들이 쓰던 신분제를 상징.
초립. 신분에 구애받지 않고 모든 사람들이 쓰고다님.
패랭이. 신분이 낮은 천민이나 양민들만 씀. 보부상 같은 상인들은 목화송이로 장식. (보부상 모자)
주립. 융복과 같이 쓰던 관리들이 쓰던 갓. 붉다는 의미. 옆에 깃이나 두건을 달아 장식. 피난을 가거나 행사를 할 때 씀.
전립. 무관들이 쓰던 갓. 융복과 철릭에 가장 많이 씀. 임진왜란 이후부터 대중화.
상모. 풍악이나 전통 축제 때. 농악대의 전립은 꼭대기에 석조시를 붙이고 구슬을 물채로 이어 꽃 끈 모양을 장식.
신발
1 퍼나 끈이 없고 발등이 파임, 2 발등에 스트랩이 있고 앞코가 둥금, 3 발뒤꿈치 부분이 벨트로 됨, 4 굽이 낮은 평평한 단화,
5 슬리퍼 형태의 여름 샌들, 6 T자 디자인 샌들, 7 쐐기형의 굽이나 힐이 붙은 구두, 8 힐 뿐 아니라 밑창 전체가 높은 구두,
9 발목까지 오는 부츠, 10 발목 이상으로 긴 신발, 11 발목까지 가죽끈으로 여러 번 동여맨 구두
그 외: 오픈토(발끝만 살짝 보여주는 구두), 스트랩슈(발등이나 발목 등에 끈이 달려 있는 펌프스), 로퍼(굽이 낮고 발등을 덮는 스타일), 스틸레토 힐(굽이 단검 모양으로 쭉 뻗은 힐)
1 구두 코에 꾸밈이 없음, 2 날개 모양의 구두코, 3 갑피에 버클과 벨트가 달림, 4 구두 앞끝에 일직선 이음매가 있음,
5 털이 발등을 덮음, 6 레이스업 슈즈 위에 가죽 덧댐, 7 모카신의 변형 형태로 발등에 가죽을 덧댐, 8 술장식을 부착함,
9 고무 밑창 단화에서 유래하여 편안하고 활동적임
그 외: 옥스퍼드(끈이 안으로 들어가게 묶는 클래식한 드레스 슈즈), 앵글부츠(더비 형식인데 일반적인 드레스 슈즈보다 목을 3~5cm 더 높여 끈을 묶는 캐주얼 부츠), 부츠(하이킹 부츠, 카우보이 부츠, 모터 사이클 부츠 등), 스니커즈(크레이프나 고무 밑창을 댄 활동성 신발. 러닝화, 테니스화, 킥스라고도 부른다)
장화, 안전화, 등산화, 주방화, 골프화, 워킹화, 슬리퍼, 미끄럼방지안전화, 방수안전화 등
안경
차광보안경: 유해에 노출되지 않도록 안경을 사용해 차고아하는 보안경.
그 외: 교정안경, 보호안경, 다중초점 렌즈, 콘택트렌즈, 투시안경, 적외선안경(야시경, 야간망원경), 3D입체안경, 용접용 근거리안경, 특수안경.

양복
플라워홀: 라펠을 반대로 여미기 위한 용도. 유래는 카네이션을 고정시켰던 전통적인 복식의 자취. 요즘은 '부토니에'라는 것을 달아 멋을 내기도 한다.
벤트: 센터벤트(가운데 절단 부분을 하나만 넣은 것), 사이드벤트(양쪽에 절단 부분을 넣은 것), 노 벤트
액세서리: 커프스 버튼, 넥타이핀, 행커치프(행커칩, 포켓치프), 부토니에(≒ 코사지, 브로치)
턱시도 (나비 넥타이) vs 연미복 (제비 꼬리)
전통의상/옛의복
젤라바: 모로코의 전통의상. 긴 겉옷. 소매가 넓고 후드가 있다.
코트
치마/드레스
랩어라운드/ 디바이디드(치마바지)/ 타이트/ 개더(주름)/ 플레어(나팔꽃)/ 플리츠(주름)
점퍼/ 엠파이어(H라인)/ 티어드(층층)/ 트럼펫/ 요크/ 패널
아코디언/ A라인/ 비대칭/ 상자꼴 겹주름
버블(풍선)/ 서클/ 드레이프(주름)/ 고데
집시/ 나이프 플리트(잔주름)/ 레이어드/ 머메이드
미니/ 패널/ 펜슬/ 러플(층층)
튜브/ 튤립/ 랩/ 요크
한복
• 동정 : 한복 저고리의 깃 위에 덧대어 꾸미는 흰 헝겊
• 길 : 저고리나 두루마기 같은 웃옷의 섶과 무각주[1] 사이에 있는 넓고 긴 폭
• 깃 : 저고리나 두루마기의 목에 둘러대어 앞에서 여밀 수 있도록 된 깃
• 진동 : 어깨선에서 겨드랑이까지의 폭 또는 넓이
• 배래 : 한복 소매 아래쪽 부분
• 고름 : 깃 끝과 그 맞은 편에 하나씩 달아 양편 옷깃을 여밀 수 있도록 한 헝겊 끈
• 섶 : 저고리나 두루마기 따위의 깃 아래쪽에 달린 길쭉한 헝겊
• 도련 : 저고리나 두루마기 자락의 가장자리
• 폭 : 바지나 고의 따위의 허리에 달아 사폭을 대는 긴 헝겊
• 치맛단 : 치마의 가장자리를 안으로 접어 붙이거나 감친 부분
• 어깨끈 : 치마가 흘러 내리지 않게 어깨에 걸 수 있게 만든 헝겊
• 치마끈 : 치마가 흘러 내리지 않게 여미는 헝겊
• 말기 : 치마 위쪽에 대는 헝겊
• 동정 : 한복 저고리의 깃 위에 덧대어 꾸미는 흰 헝겊
• 길 : 저고리나 두루마기 같은 웃옷의 섶과 무 사이에 있는 넓고 긴 폭
• 깃 : 저고리나 두루마기의 목에 둘러 앞에서 여밀 수 있도록 된 깃
• 진동 : 어깨선에서 겨드랑이까지의 폭 또는 넓이
• 배래 : 한복 소매 아래쪽 부분
• 고름 : 깃 끝과 맞은 편에 하나씩 달아 양편 옷깃을 여밀 수 있도록 한 헝겊 끈
• 섶 : 저고리나 두루마기 따위의 깃 아래쪽에 달린 길쭉한 헝겊
• 도련 : 저고리나 두루마기 자락의 가장자리
• 마루폭 : 바지나 고의 따위의 허리에 달아 사폭을 대는 긴 헝겊
• 작은사폭 : 오른쪽 마루폭에 대는 작은 폭의 헝겊
• 큰사폭 : 마루폭과 마루폭 사이(왼쪽 마루폭)에 대는 큰 폭의 헝겊
35mm 정지화상 카메라: 이미지를 포착하기 위해 35mm 필름을 사용하는 일안 대물렌즈 리플렉스 카메라.
컴퓨터 모니터: 생환장비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볼 수 있게 해 준다.
장갑: 터치 감도를 느낄 수 있도록 손끝 부분이 실리콘으로 덮여 있으며, 태양열 때문에 뜨거워진 물체를 잡을 수 있도록 단열되어 있다.
안전끈: 우주비행사를 왕복선과 연결하며, 약간의 기동성을 제공한다.
추진장치: 우주비행사가 왕복선을 떠나 우주를 유영하는 데 필요한 추력을 제공한다.
방호용 피복: 열과 추위, 그리고 작은 운석으로부터 우주비행사를 보호한다.
유인 조종장치: 우주 비행사가 왕복선 주위에서 움직일 수 있게 해 주는 추진 장치와 여러 기기를 연결하는 데 사용하는 방출구가 갖춰진 기기.
판독거울: 우주비행사가 가시 범위 밖의 우주복 부분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작업절차점검표: 우주를 유영하는 동안 지켜야 할 절차를 수록한 책자.
헬멧: 머리에 뒤집어쓰는 플라스틱 외피. 우주비행사로 하여금 숨을 쉬고 볼 수 있게 해 준다.
태양광차단기: 헬멧의 반투명한 부분. 태양의 자외선으로부터 우주비행사를 보호하고, 볼 수 있게 해 준다.
생명유지장치: 꾸준히 공급해야 하는 산소, 냉각 시스템, 이산화탄소 처리 시스템을 갖춘 모듈.
등산복
헬멧 램프: 헬멧에 부착되어 등산가의 손을 자유롭게 해 주는 램프.
파카: 방수 스포츠 재킷. 소매가 길고, 후드와 허리 부분에는 졸라매는 끈이 달려 있으며, 손목 부분은 주름이 잡혀 있다.
등산용 삽: 눈을 파고 제거하는 데 사용하는 도구.
피턴 캐리어: 피턴이 달려 있는 금속 고리.
망치도끼: 아이스 액스로 사용하는 망치. 피턴을 집어넣거나 풋홀드를 깎거나 암벽 면의 얼음을 깨는 일 등에 사용한다.
아이스 피턴: 얼음이나 단단하게 굳은 눈 속에 집어넣을 수 있는 날이 달린 금속제 스파이크. 끝에는 구멍이 있어 거기에 카라비너로 확보줄을 부착할 수 있다.
아이스 스크루: 톱니가 있는 금속관. 얼음이나 단단하게 굳은 눈 속에 나사처럼 넣어 로프를 고정하여 전진할 때 이용한다.
아이젠 끈: 등산화 바닥에 스파이크를 부착하는 데 사용하는 끈.
프런트 포인트: 앞쪽에 있는 스파이크. 45° 각도로 구부러져 있다.
스파이크: 등산가가 눈이나 얼음 위를 움직일 때 몸의 균형을 잡아 주고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끝이 뾰족한 물체.
각반: 다리를 덮는 튼튼한 방수용 직물로 만든 물건.
바지: 보통 무릎 아래까지 내려오는 방수 바지.
아이스 액스: 등산가가 풋홀드를 깎고, 눈의 깊이를 판단하며, 얼음이나 단단하게 굳은 눈 속에서 단단히 움켜잡을 것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하는 작은 도끼.
초크: 암벽 표면에 있는 틈새에 들어가 장력에 의해 고정되는 금속 기구. 카라비너를 끼울 수 있는 철제 케이블로 연장된다.
카라비너: 용수철 장착 개폐부를 이용해 여닫는 금속 고리. 잠금 장치가 갖추어지기도 하며, 피턴과 초크 등에 로프를 부착하는 데 사용된다.
등반용 하니스: 빌레이 로프에 연결된 액세서리. 여러 가닥으로 이루어져 등산가의 허벅지, 골반, 등, 때로는 어깨까지 받쳐 준다.
로프: 가느다란 케이블. 꼬인 심이 들어 있어 신축성 있고 튼튼하며, 엮어서 만든 싸개로 심을 에워싸고 보호한다.
냅색 / 배낭: 등에 메는 여행용 또는 하이킹용 가방. 의류, 야영 장비 등을 운반한다.
방사능 차단복 = 차폐복
'화면해설작가 > 단어설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어 11> 동물 몸 부위 명칭 (새/달팽이/거북이/독사/문어/돌고래/상어/인간 근육) (0) | 2020.07.07 |
---|---|
<단어 10> 공간 (건축양식/기둥/사진/한옥/농장/정원/주방/사무실/녹음실/방송실/중계차/재판소/항구/교회) (0) | 2020.07.07 |
<단어 8> 칼 (부엌칼/아트나이프/단검/펜싱) (0) | 2020.07.07 |
<단어 7> 그 外 (경호/난로/단위/술집/아궁이/조명/종교연표/굿) (0) | 2020.07.07 |
<단어 6> 도로 (등/단자함/전봇대/철도건널목) (0) | 2020.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