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는 목소리 (화면해설작가)

{자료} 화면해설방송 대본 작성법 본문

화면해설작가/자료조사

{자료} 화면해설방송 대본 작성법

zinnago 2017. 1. 7. 15:37



- 시각장애인을 위한 정보 제공이 목적이다.


- 시각장애인 모니터요원의 의견에 귀 기울인다. 


- 대본 작성 시 나레이터와 편집자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 


- 타임코드, 겹치는 부분, 덮는 부분, 효과음 살릴 부분, 해설이 화면보다 먼저 들어가는 부분 등 체크


- 작은 시간까지 확인하여 대본이 주어진 시간에 맞는지 체크한다.


- 감독의 미쟝센 및 로케이션 장소, 소품을 표현하는 단어까지 살펴본다. 


- 배우들의 표정을 설명할 적당한 단어를 찾아본다.


- 작업이 끝나면 읽어보고, 객관적인지 마지막으로 체크한 후 더빙에 들어간다.


- 보통 10분의 장면을 작업하기 위해 최소 4시간이 걸린다.


- 프로그램의 종류 : 현장 프로그램, 시사 프로그램, 다큐, 예능, 드라마 → 모니터 보고서 작성


- TV 구성 원고와 화면해설 원고의 차이 


- 시각장애인의 이해, 화면해설의 필요성, 화면해설 제작과정, 모니터보고서의 필요성


- 자막이나 수화 등을 화면해설로 대체하는 방법


- 화면해설 작가와 성우, 엔지니어의 유기적 관계 이해


- 모니터 보고서

① 프로그램명

② 기획 의도

③ 제작형식(All Eng 인지, 스튜디오물인지, Live인지, 녹화인지 등)

④ 책임프로듀서

⑤ 연출

⑥ 작가

⑦ 진행(스튜디오 등에서 진행을 맡은 AD나 FD)

⑧ 출연(MC나 패널 등 드라마는 주요 출연자)

⑨ 외주제작

⑩ 첫방송

⑪ 편성시간

⑫ 시청률

⑬ 상세 내용(프롤로그, 본론, 에필로그)

⑭ 총평(프로그램을 모니터하는 사람의 선호도와 개선점 등)

⑮ 분당 시청률 곡선

⑯ 시청층 분석


드라마 화면해설


- 장르에 따른 특징 파악. 주제 및 캐릭터 분석. 


- 도입부에서 인물과 사건의 인과관계를 분명하게 이해한다. 


- 시간이나 장소의 변화, 시제의 변화, 복선과 암시 등은 어떻게 영상화되는지.


- 소리와 자막 등을 활용하는 방법. 


- 주어진 시간 안에 효과적으로 영상을 설명할 수 있도록 한다.


- 영화적 기법(촬영, 편집, 그래픽)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 객관적 표현과 주관적 표현의 경계를 구분하고, 미장센을 활용해 감정을 전달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1. 원 영상물을 먼저 감상한 후 시각적 요소들에 대한 분량이나 표현법을 구상한다.


2. 원 영상물의 영상을 보지 않는 상태에서 대화와 사운드 효과만 시청한 후 원본 시나리오와 함께 다시 시청하여 시각장애인의 입장에서 화면해설이 필요한 부분을 파악한다. 


3. 원 영상물의 내용, 줄거리, 등장인물의 특징을 파악하고 인물들의 이름이나 관계 등을 이해한다. 


4. 등장인물의 표정, 몸짓, 배경, 기타 중요한 시각적 요소들을 원 영상물의 내용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시한다. 


5. 실제 영상으로 보여지는 액션, 배경, 몸짓, 자막과 그래픽 같은 시각적 요소들을 구체화하여 대본을 작성한다. 


6. 원 영상물의 대상 연령층을 고려하여 적절한 용어를 선택한다. 전문용어나 난해한 그래픽에 대하여 부연설명을 한다. 


7. 대본 작성이 완료되면 오탈자 등을 교정한다. 화면과 해설을 비교하여 분량의 일치 정도를 점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