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면해설방송과 배리어프리영화의 연출방법연구
-부산국제영화제 베리어프리영화 제작 중심으로-
나준기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 미디어 12권 4호
2013
17pages
초록
화면해설방송과 배리어프리영화는 영상콘텐츠의 스토리 전달이 아닌 화면자체의 이해를 위해 장면의 해설과 편집 연출효과나 장면전환, 등장인물의 표정과 특징 및 제스처나 몸짓 등 대사 없이 처리되는 영상을 해설하여 시각 장애인을 위한 수신기를 통한 화면해설과 청각장애인을 위한 자막이 제공되어 해설소리와 자막으로 방송과 영화를 보고 느낄 수 있도록 하며, 장애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이함께 볼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화면해설은 궁극적으로 동작을 설명하고 이야기의 흐름과 풍경과 행동을 전달하는 것에 있다. 사투리나 지역적 특성이 드러나야 할 경우 너무 사투리에 치우치지 않도록 하며 마지막 단계 에서는 해설음의 높낮이 차이로 인식이 어려워지거나 빠진 부분을 확인하여 검수 하는 과정이다. 특히나 문법적 요인인 시제의 사용은 최대한화면 움직임에 근거하여 현재시제를 써야만 한다. 한국의 문법에 없는 근접미래과거의 표현이 화면전환을 통하여 복선 연출이 나오게 되면 사회적 의미와 단어자체의 의미 중 사회적 혹은 영화내용에 부합된 의미로 쓰여 지고 표현 되어야 한다. 부산국제영화제에 상영된 2012년과 2013년 배리어프리영화 제작 방식의 큰 변화는 film으로 상영하던 방식에서 DCP방식으로 디지털 데이터로 된 패키지파일로 제작된 메타데이타를 영사기가 아닌 빔프로젝터로 상영하게 되었다. 그 과정은 JPEG 2000으로 압축되어 MXF파일형태의 파일들이 결합하여 DCP파일을 구성하게 된다. 음향의 경우 PCM방식으로 각 언어트랙 당 MXF파일로 구성이 된다. 제작환경의 변화는 다양한 매체를 실험하게 되고 스마트환경과 함께 결합되어 미리 정보를 전달하여 바쁘게 나레이션 하지 않아도 되는 환경이 열리고 있다. 지금까지 드라마나 빠르게 전계되지 않은 다큐멘터리에 한정되었던 화면해설과 베리어프리영화 장르가 폭넓은 타 장르로 곧 시도될 전망이다.
http://www.papersearch.net/thesis/article.asp?KEY=3226864
'화면해설작가 > 자료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 영상 콘텐츠의 디지털화에 따른 영상문화변화에 관한 연구 2007 (미구입) (0) | 2017.07.16 |
---|---|
{논문} 일본 치바현의 배리어 프리 현황과 시사점 2006 (미구입) (0) | 2017.07.16 |
{논문} 시각장애인을 위한 배리어프리영화의 국내 제작현황 및 표현양식 연구 2013 (미구입) (0) | 2017.07.16 |
{기사} 시각장애인이 귀로 텔레비전을 감상하는 방법 (0) | 2017.07.04 |
{목차} KBS/국립장애인도서관 화면해설방송 리스트 (0) | 2017.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