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방송제작물 제작, 편성확대를 위한 정책연구
- 융합방송미디어로의 환경 변화에 따른 정책 방향
장애인 방송제작물 제작, 편성확대를 위한 정책연구(1).pdf
장애인 방송제작물 제작, 편성확대를 위한 정책연구(2).pdf
2009.11
책임연구원: 송종길(경기대 다중매체연상학부 교수)
공동연구원: 박태순(미디어전략연구소 연구실장), 이영주(한국예술종합학교 연구소 책임연구원)
연구원: 이기태(서울산업대 박사 수료)
출처: http://www.kcc.go.kr/user.do?mode=view&page=A02050101&boardId=1022&boardSeq=28841
목차
1. 서론
- 연구배경 1p
- 연구 범위 및 목적 2p
2. 장애인방송서비스의 현재 : 장애인방송서비스 기술과 주요 지원정책
- 장애인 방송서비스의 주요 기술 (시각장애인을 위한 지원기술/ 청각장애인을 위한 지원기술) 5p
- 장애인 방송접근 관련법과 정책적 지원 16p
3. 장애인방송의 변화 : 장애인 방송제작물 제작, 편성 환경의 변화
- 디지털 융합시대에 장애인방송에 대한 재해석 (장애인 방송 환경의 구조적 변화/ 장애인 방송 서비스를 위한 신기술) 23p
- 융합형 방송 미디어의 장애인 방송 활용성 논의 (디지털 전환에 따른 방송 가능성/ 미디어별 인터페이스 기술의 호환성) 28p
4. 장애인 방송정책의 해외 사례 : 프랑스, 일본, 영국, 독일, 미국
- 프랑스 (법규 및 제도/ 장애인 방송 방송물 제작 기술 및 형식/ 편성 현황/ 디지털 텔레비전의 장애인 방송) 57p
- 일본 (디지털 디바이드 해소를 위한 장애인 복지 제도와 정책/ 장애인 방송정책/ 방송현황/ 디지털 시대의 장애인 방송) 73p
- 영국 (텔레비전 억세스 서비스 코드 해설/ 영국 BBC의 장애인 방송 정책/ 디지털 시대의 장애인의 미디어 엑세스) 112p
- 독일 (장애인방송 관련 법규와 제도/ 장애인을 위한 방송 서비스 현황/ 장애인 방송에 대한 수용자 조사/ 디지털 융합시대의 자막방송 이용 현황) 132p
- 미국 (자막서비스/ 화면해설방송/ 미국의 장애인방송 정책과 법제) 164p
- 해외사례의 시사점
5. 장애인 방송정책에 대한 전문가 인식 현황
- 인식조사대상 및 조사내용 190p
- 주요 조사 결과 (장애인방송서비스 전담 부서 문제/ 집중되어야 할 프로그램 영역과 편성, 비율 문제/ 예산에 대한 부담감/ 정책 및 법제도적 측면에 대한 평가/ 장애인방송서비스에 대한 제언) 191p
6. 장애인 방송정책의 미래
- 장애인 방송 정책에서 디지털 디바이드 정책으로의 총체적 전환 202p
- 장애인 방송 확대를 위한 기술 개발 방향 205p
- 법 및 제도적 개선 방안 211p
- 방송 프로그램 제작 및 편성 정책 방향 (제작 편성 종합 서비스 센터/ 프로그램 제작 편성 협약의 제도화/ 연차별 확대 방향) 214p
- 방송사의 환경 개선 및 실천 방향 222p
- 장애인 단체의 역할 224p
7. 결론
표 목차
그림 목차
<그림 27> 수화방송 시청 선호도
<그림 28> 자막이 없을 경우의 프로그램 이해도
<그림 29> 수화가 없을 경우의 프로그램 이해도
<그림 30> WDR의 Web-TV 화면
<그림 31> WDR의 Web-TV 화면 우측 하단의 선택 기호
'화면해설작가 > 자료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 화면해설 텍스트의 비교연구 (미구입) (0) | 2017.07.18 |
---|---|
{논문} 장애인방송 서비스관련 연구 프로젝트에서 조사된 해외사례 (0) | 2017.07.17 |
{논문} 장애인 미디어권의 현황과 과제 2011 (0) | 2017.07.16 |
{논문} 해외 선진국과 국내의 장애인방송 운영제도 비교 연구 2014 (0) | 2017.07.16 |
{논문} 영상 콘텐츠의 디지털화에 따른 영상문화변화에 관한 연구 2007 (미구입) (0) | 2017.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