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면해설작가/단어설명

<단어 12> 음악 (교향악단/관악기/타악기/현악기/전통악기)

 

교향악단

목관악기부: 나무로 만든 관악기 부류.

1 베이스클라리넷: 관이 구부러진 클라리넷. 음역은 원래의 클라리넷보다 한 옥타브 낮다.

2 클라리넷: 싱글 리드이며, 원통형 관에 구멍이 나 있고(일부는 건으로 막혀 있다.) 끝은 종모양으로 벌어져 있다.

3 콘트라바순: 더블 리드이며, 몇 장의 관으로 이루어진 악기. 음역은 바순보다 한 옥타브 낮다.

4 바순: 더블 리드이며, 구부러진 원추형 나무관으로 구성된 악기. 휘어진 취구에 두 장의 리드가 끼워져 있다.

5 플루트: 측면 취구와 구멍이 뚫린 관으로 이루어진 악기. 일부 구멍은 건으로 막혀 있다.

6 오보에: 원추형 관에 구멍이(일부는 건으로 막혀 있다.) 뚫려 있고 끝이 나팔 모양으로 약간 벌어진 악기이며 리드가 두 장이다.

7 피콜로: 가로로 부는 작은 플루트로서 음역은 보통의 가로 플루트보다 한 옥타브 높다.

8 잉글리시 호른: 끝이 과일 배 모양인 알토 오보에.

 

타악기: 손으로 직접 두드리거나, 채, 말렛 등으로 두드려 소리를 내는 악기군.

9 튜뷸러벨스: 금속 관들이 크기 순으로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고, 작은 망치로 관의 윗부분을 쳐서 소리를 낸다.

10 실로폰: 나무 막대를 공명관 위에 음계순으로 두 줄로 배열한 악기. 말렛으로 막대를 두드린다.

11 트라이앵글: 금속 막대를 구부려 한쪽 끝이 트인 삼각형으로 만든 악기. 금속봉으로 삼각형을 친다.

12 캐스터네츠: 조개껍데기 모양을 한, 두 개의 나뭇조각을 한 손으로 잡도록 만들어 손가락을 사용하여 함께 두드리는 악기.

13 심벌즈: 두 개의 금속 원반을 함께 두드리는 악기.

14 작은북: 두 개의 막을 씌운 납작한 드럼. 아랫면 막에 스네어라고 하는 쇠울림줄을 대어 달그락거리는 소리를 낸다.

15 공: 커다란 금속 원반에 중심부가 도드라져 올라와 있으며, 그 부분을 말렛을 사용하여 두드리는 악기.

16 큰북: 세로 틀 위에 설치한 큰 북. 페달로 조종하는 목재 말렛을 이용하여 두드린다.

17 팀파니: 포물선 형의 구리 통에 헤드가 팽팽하게 덮인 악기로서, 말렛으로 두드린다.

 

금관악기부: 금속으로 만든 관악기군이며, 컵 모양의 마우스피스로 연주한다.

18 트럼펫: 구부러진 원통형 관과 끝이 나팔 모양으로 벌어진 관악기.

19 코넷: 구부러진 원추형 관과 끝이 나팔 모양으로 벌어진 관악기.

20 트롬본: 굽은 관에 슬라이드를 부착하고 있으며, 관의 길이를 조절하여 음높이를 반음씩 다르게 낼 수 있는 악기.

21 튜바: 관악기군에서 음역이 가장 낮은 관악기. 원뿔 모양의 관이 감겨 있고 끝이 위로 향해 있다.

22 프렌치호른: 원뿔 모양의 관이 감겨 있으며, 끝이 나팔 모양으로 벌어진 관악기.

 

현악기부: 활로 연주하는 현악기군.

23 제1바이올린: 선율을 연주하는 바이올린.

24 제2바이올린: 제1바이올린을 받쳐 주는 바이올린.

25 비올라: 바이올린과 비슷하지만 5도 낮은 음을 내는 네 줄 현악기.

26 첼로: 두 다리 사이에 놓고 연주하는 네 줄 현악기. 크기는 바이올린의 약 두 배이며, 음역은 비올라보다 한 옥타브 낮다.

27 콘트라베이스: 세워서 연주하는 네 줄 또는 다섯 줄의 현악기. 바이올린족 가운데 가장 크고 음역은 가장 낮다.

 

하프와 피아노

28 하프: 길이가 서로 다른 현들이 삼각형의 틀에 끼워진 발현악기.

29 피아노: 건반 위의 건으로 조정하는 해머로 현을 치는 타현악기.

 

지휘대

30 지휘대: 지휘자가 올라서서 연주자들을 지휘하는 작은 단.

 

 

관악기

 

 

타악기

 

현악기

 

 

전통악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