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
상층운 / 위턱구름: 얼음 알갱이로 이루어진 6,000m 이상 고도의 구름. 이 구름은 강수 현상을 일으키지 않는다.
권운 / 새털구름: 작은 조각이나 흩어져 있는 띠 모양의 구름. 주로 저기압이 형성되기 전에 나타난다.
권적운 / 털쌘구름: 흰색 또는 회색 반점이나 띠 모양을 한 구름. 종종 줄지은 배열을 보인다.
권층운 / 털층구름: 하늘을 완전히 덮어 태양 주변으로 후광을 만들어 내는 희끄무레한 구름.
중층운 / 중층구름: 2,000~6,000m의 고도에 있는 구름. 물방울과 얼음 알갱이로 구성되어 있다.
고층운 / 높층구름: 하늘을 완전히 덮고 있으나 후광 현상 없이 태양을 볼 수 있는 회색 구름. 호우를 내리게 한다.
고적운 / 높쌘구름: 흰색이나 회색의 큰 덩어리로 이루어진 구름. 때때로 나란한 층을 이루며, 저기압이 다가올 징조이다.
하층운 / 밑턱구름: 물방울과 얼음 알갱이가 간간이 섞여 있는 구름. 고도가 2,000m를 넘지 않으며, 때때로 쉬지 않고 계속되는 비를 내리게 한다.
층적운 / 층쌘구름: 연속적인 두루마리처럼 둥글둥글한 층으로 늘어선 회색과 흰색의 구름. 대체로 비를 내리게 하지는 않는다.
난층운 / 비층구름: 태양을 완전히 가릴 정도로 짙고 어두운 층으로 된 구름. 지속적인 강수의 원인이 된다.
적운 / 쌘구름: 갠 날씨의 윤곽이 매우 뚜렷한 구름. 밑면은 회색이고 편평하며, 윗부분은 흰색이고 둥글게 융기되어 있다.
층운 / 층구름: 안개와 비슷하게 연속적인 막을 만드는 회색 구름. 지상에 닿지는 않고, 약간의 비를 내리게 한다.
연직운 / 연직구름: 밑면은 낮은 고도에 있지만 매우 높게 솟아 있는 형태의 구름. 적운과 적란운의 두 유형이 있다.
적란운 / 쌘비구름: 세찬 강수를 일으킬 수 있는 매우 웅장한 구름. 두께가 10㎞에 이르고 아랫부분은 매우 어둡다.
달
기상관측소
풍향계 / 바람개비: 수직의 축 주위를 도는 바람개비를 이용하여 바람의 방향을 가리키는 기구.
풍력계 / 풍속계: 바람의 속도를 측정하는 기구. 속도를 달리하며 움직이는 축 주위를 돌아가는 컵을 이용한다.
일조계: 매일 태양이 비치는 시간(일조시간)을 기록하도록 고안된 기구.
일사계: 전체적인 또는 간접적인 태양복사선을 측정하는 기구.
직독식 우량계: 강우량을 재는 기구. 비를 모으는 깔때기로 연결된 측정관을 사용한다.
설량계: 원래 눈으로 내렸다가 녹은 물의 깊이를 측정하는 기구.
우량기록계: 눈금이 있는 작은 용기를 이용하여 강우량을 측정하는 기구. 물이 가득 차면 기울어져서 전기 자극을 낸다.
백엽상 / 백엽상자: 환기가 되는 집 모양의 나무 상자. 태양광선과 강우로부터 기상관측 기구를 보호하도록 만들어졌다.
굴절망원경
파인더스코프: 넓은 시계를 가진 조그만 저배율 망원경. 천체들을 찾아낸다.
접안 렌즈: 눈앞에 놓으면 이미지가 확대되는 렌즈 또는 렌즈 시스템.
천정 프리즘: 접안렌즈 쪽으로 빛을 편향시키는 부분. 그렇게 함으로써 편안한 관측 위치를 제공한다.
초점조절나사: 대상의 선명한 영상를 얻을 수 있도록 해 주는 조절 장치.
방위각미세조절나사: 망원경을 수평으로 놓을 수 있게 해 주는 미세 조정 장치.
고도미세조절나사: 망원경을 수직으로 놓을 수 있게 해 주는 미세 조정 장치.
포크: 망원경을 삼각대에 고정시키는 이중 포크로 이루어진 대.
삼각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3개의 다리가 있는 안정적인 스탠드.
균형추: 망원경의 무게와 같은 추. 전체적인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해준다.
적경눈금환: 관측된 천체의 적경을 가리키는 눈금환.
고도조임쇠: 수직 축을 따라 망원경을 고정시키는 클램프.
방위각조임쇠: 수평 축을 따라 망원경을 고정시키는 클램프.
적위눈금환: 관측된 천체의 경사각을 나타내는 눈금환.
이슬덮개: 빛이 새거나 응결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대물렌즈 앞에 놓는 장치.
경통: 광학 계통 기기가 들어 있는 망원경의 원통 부분. 광선은 이 경통을 통과한다.
경통 밴드: 경통을 밑동 부분에 고정시키기 위해 돌려서 조이는 부분.
반사망원경
접안 렌즈: 눈앞에 놓으면 이미지가 확대되는 렌즈 또는 렌즈 시스템.
파인더스코프: 넓은 시계를 가진 조그만 저배율 망원경. 천체들을 찾아낸다.
초점조절나사: 대상의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해 주는 조절 장치.
적위눈금환: 관측된 천체의 경사각을 나타내는 눈금환.
방위각조임쇠: 수평 축을 따라 망원경을 고정시키는 클램프.
고도조임쇠: 수직 축을 따라 망원경을 고정시키는 클램프.
고도미세조절나사: 망원경을 수직으로 놓을 수 있게 해 주는 미세 조정 장치.
방위각미세조절나사: 망원경을 수평으로 놓을 수 있게 해 주는 미세 조정 장치.
적경눈금환: 관측된 천체의 적경을 가리키는 눈금환.
경통: 광선이 통과하는 망원경의 원통 부분. 광학 계통 기기가 들어 있다.
경통 밴드: 경통을 밑동 부분에 고정시키기 위해 돌려서 조이는 부분.
물의 흐름
샘: 지하수가 지표로 솟아오르는 지점. 물줄기의 원천이 되기도 한다.
시내: 샘에 의해 생긴 작은 물줄기. 강이나 호수의 지류이다.
빙하: 눈이 쌓여 압축되어 생긴 얼음덩어리. 자체의 무게로 이동한다.
하천: 작거나 중간 크기의 자연적인 물줄기. 또 다른 물줄기로 흘러간다.
계곡: 수로나 빙하에 의해 형성되는 깊고 길게 팬 골짜기. 주변의 급경사 지형과 접해 있다.
강: 수많은 작은 강들이 모여 만들어진 큰 물줄기. 바다로 흘러들어간다.
우각호: 곡류(曲流)에 의해 흐르는 물줄기 뒤에 남겨진 초승달 모양의 호수.
평야: 비교적 평탄하면서 광활한 땅. 주변 경관보다 낮은 지형의 평야에 생긴 골짜기는 넓고 얕다.
충적퇴적물: 흐르는 물에 의해 운반된 후 퇴적된 침전물(진흙, 모래, 자갈, 조약돌).
삼각주분류: 하구 가까이에서 흐르는 강이나 하천의 수로. 충적 퇴적물에 의해 여러 갈래로 나뉜 물줄기가 삼각주를 형성한다.
범람원 / 홍함지: 하천과 수준이 비슷한 지면. 주기적으로 일어나는 홍수의 영향을 받는다.
바다: 내륙으로부터 얼마간 떨어져 있는 광대한 바다. 해양보다 깊지 않다.
삼각주 / 델타: 강의 하구에 퇴적물이 쌓여 만들어진 해안지대. 강은 여러 줄기로 갈라져 흐른다.
곡류 / 사행: 완만한 경사지를 따라 흐르는 물줄기가 만드는 굴곡.
합류: 2개 혹은 그 이상의 물줄기가 만나는 지점.
지류 / 지천: 더 큰 물줄기나 호수로 흘러들어가는 물줄기.
협곡: 물줄기에 의해 팬 급경사면과 접하는 깊고 좁은 계곡.
유출: 호수나 빙하에서 흘러나오는 물줄기.
호수: 육지로 완전히 둘러싸인 수역(水域). 크기와 깊이가 다양하다.
폭포: 바닥 높이가 급격하게 바뀜으로써 거의 수직으로 흐르는 물길.
물안개 : 강이나 호수, 바다 따위에서 피어오르는, 비가 내리듯이 낮고 짙은 안개. 날이 추워야 하고, 아침 6~7시 정도에 생긴다.
해안선
해안선 : 바다와 육지가 만나는 좁고 기다란 땅.
사막
암석사막 / 돌사막: 가장 흔한 형태의 사막. 낮과 밤의 온도차에 의해 암석에 균열이 일어난다.
모래사막 / 사사막: 아주 작은 암석 알갱이(모래)가 바람의 작용에 의해 모래언덕을 만드는 사막.
뾰족바위: 바람에 의해 형성된 뾰족한 암석 기둥.
뷰트: 침식에 의해 형성된 암석 언덕. 측면은 경사가 가파르고 꼭대기는 편평하며, 메사보다는 면적이 작다.
메사: 외따로 떨어진 고원형 지형. 꼭대기는 편평하고 측면은 매우 급경사를 이루며, 침식에 강한 암석층이 특징이다.
와디 / 고곡: 비가 내릴 때 갑자기 범람하기 쉬운 마른 하천.
함수호 / 염호: 물이 증발되기 쉽고, 녹아 있는 무기염의 농도가 높아 염분 함량이 매우 높은 호수.
야자숲: 야자수 나무가 심어져 있는 지역.
오아시스: 사막 지역에 지하수나 지표수가 있어 비옥해진 지역.
'화면해설작가 > 단어설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어 15> 도구(카트, 농기구, 해녀, 스포츠) (1) | 2020.07.07 |
---|---|
<단어 14> 꽃, 산 (나무/꽃/씨앗/산/화산/침엽수/활엽수/산소) (0) | 2020.07.07 |
<단어 12> 음악 (교향악단/관악기/타악기/현악기/전통악기) (0) | 2020.07.07 |
<단어 11> 동물 몸 부위 명칭 (새/달팽이/거북이/독사/문어/돌고래/상어/인간 근육) (0) | 2020.07.07 |
<단어 10> 공간 (건축양식/기둥/사진/한옥/농장/정원/주방/사무실/녹음실/방송실/중계차/재판소/항구/교회) (0) | 2020.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