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면해설작가/단어설명

<단어 14> 꽃, 산 (나무/꽃/씨앗/산/화산/침엽수/활엽수/산소)

 

나무

 

밑동(≒둥치): 나무줄기에서 뿌리에 가까운 부분. 큰 나무의 밑동은 둥치. 

 

그루터기: 줄기를 베고 남은 그루. 나무가 잘려도 뿌리와 함께 제자리에 남는 나무줄기의 아랫부분. (양초 따위가 타다 남은 밑동을 가리키는 말이기도) 

≒ 등걸: 나무의 그루터기. (아낌없이 주는 나무에서 노인이 되어 찾아온 주인공에게 나무가 마지막으로 줄 수 있었던 자리)

 

그루: 나무/풀/곡식 같은 것의 밑동. 

옹이: 나무의 몸에 박힌 가지의 그루터기.

 

 

 

 

암술머리 / 주두: 수분을 위해 꽃가루를 받는 암술의 맨 윗부분.

암술대 / 화주: 꽃가루의 생식세포가 암술머리에서 밑씨로 이동할 때 지나가는 원뿔형 대.

꽃턱: 꽃의 다른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꽃의 다른 부분을 지지하는 꽃자루의 부푼 부분.

씨방 / 자방: 1개 이상의 밑씨를 포함하는 암술의 하단 부분. 열매는 대개 수정 후 씨방이 발달한 것이다.

꽃자루 / 화병: 줄기나 가지의 끝에 있는 버팀줄기. 식물에 처음에는 꽃이 달리고, 다음에는 열매가 달린다.

밑씨 / 배주: 난세포와 씨방에 의해 생산되어 수정 후 씨로 발달하는 작고 둥근 기관.

악편 / 꽃받침조각: 일반적으로 꽃의 초록색 부분. 꽃의 내부 기관을 보호한다. 개화 후에 떨어지기도 하고 열매가 성숙할 때까지 남아 있는 경우도 있다.

꽃잎: 색상이 대개 화려하고 향기를 내는 꽃의 기관. 웅성 및 자성 번식 기관을 감싼다. 종종 꽃가루 매개자를 유혹하는 역할을 한다.

수술대 / 꽃실: 꽃밥과 꽃의 나머지 부분을 연결하는 원통형 축.

꽃밥: 화분립(花粉粒)을 생산하는 수술의 상단 부분. 성숙하면 벌어져서 꽃가루를 사방으로 내보낸다.

암술: 꽃의 중심에 있으며 씨방, 암술대, 암술머리로 구성되어 있는 꽃의 자성 번식기관.

꽃부리 / 화관: 꽃잎 전체로 이루어진 꽃의 부위.

수술: 수술대와 꽃밥으로 구성되는 꽃의 웅성 번식기관.

꽃받침: 악편으로 이루어진 꽃의 한 부분.

 

 

씨앗

끝눈 / 정아: 줄기가 더 생장할 수 있도록 줄기 끝에서 발달한 눈.

떡잎: 씨앗에서 가장 처음 나온 잎. 어린 식물에게 꼭 필요한 영양분을 제공한 뒤, 발아가 끝나면 이내 시들어 떨어진다.

원뿌리: 어린뿌리가 발달하면서 발생한 뿌리. 여기에서 많은 곁뿌리가 빠르게 생장한다.

곁뿌리: 원뿌리에서 나와 생장하는 뿌리.

종자 / 씨: 수정한 밑씨가 자라서 형성된 기관. 배, 그리고 배가 새로운 식물로 자랄 때 필요한 양분이 저장되어 있다.

어린뿌리: 씨에서 발생한 첫뿌리. 씨껍질을 빠르게 비집고 나와 흙 아래로 파고들며 생장한다.

뿌리털 / 근모: 실처럼 가늘게 갈라진 뿌리세포. 물과 무기염류를 공급한다.

 

 

 

능선: 산의 정상 부분에 있는 길고 좁은 구역.

봉우리: 원추형 또는 끝이 뾰족한 형태의 산 정상 부분.

절벽: 돌출된 부분 없이 가파르게 떨어지는 경사면.

지맥: 주맥에서 이어지는 보다 낮은 산맥.

고개: 산에서 움푹하게 들어가 통로를 이루는 곳.

만년설: 산의 정상(頂上) 부근에 쌓인 눈. 일 년 내내 녹지 않는다.

산마루: 산의 경사가 서로 만나는 선. 산마루는 계곡까지 이어질 수 있다.

산비탈: 계곡 아래로 뻗어 있는 산의 면.

급류: 요동치며 급하게 흐르는 물줄기. 눈이 녹을 때 격렬하게 범람하기 쉽다.

계곡: 수로나 빙하에 의해 형성되는 깊고 길게 팬 골짜기. 주변의 급경사 지형과 접해 있다.

드럼린 / 빙퇴구: 빙하의 움직임으로 형태가 만들어지고, 빙하퇴적물로 형성된 낮은 언덕. 드럼린은 보통 여러 개의 평행선 모양이 발견된다.

고원: 주변 지역보다 높고 광대하게 펼쳐졌으며 비교적 평탄한 지형. 급사면에 의해 깊은 계곡과 경계를 이룬다.

호수: 육지로 완전히 둘러싸인 수역(水域). 크기와 깊이가 다양하다.

케틀 / 케틀홀: 빙하가 물러나면서 커다란 얼음덩어리가 떨어져 생긴 웅덩이 모양의 땅. 물이 가득 차 호수를 이룬 것도 있다.

구릉: 경사가 완만하고 다소 높은 지형.

삼림: 나무들로 덮여 있는 광활한 땅.

 

산기슭: 산의 비탈이 끝나는 아랫 부분. 신기슭과 산자락은 산에서 허리 아래에 해당하는 부분. 

산자락: 밋밋하게 비탈져 나간 산의 밑 부분. 산마루에서 산기슭까지 이어지는 비탈진 곳. 

산비탈: 산기슭의 비탈진 곳

산마루: 산등성마루의 준말. 마루가 가장 높음을 뜻하는 말이니, 산마루는 산의 등줄기에서 가장 높은 부분을 가리키는 말 

 

산모퉁이: 산기슭의 쑥 내민 귀퉁이

산모롱이: 산모퉁이를 휘어져 들어가는 곳. 산모퉁이와 산모롱이는 산기슭에 해당하는 부분

(뒷산)자드락: 보통 산기슭은 나지막하게 펼쳐져 있는데, 이 산기슭의 비스듬히 기울어진 땅

 

산마루터기: 산마루의 두드러진 곳

산등성이: 산의 등줄기

 

빙하: 눈이 쌓여 압축되어 생긴 얼음덩어리. 자체의 무게에 의해 이동한다.

툰드라 / 동토: 비교적 건조한 지역에서 자라는 식물군계. 이끼, 지의류, 풀, 관목, 덤불, 키 작은 나무가 포함된다.

침엽수림: 사철 푸른 침이나 비늘 모양 잎을 가진 무른 재질의 나무들로 이루어진 숲.

혼합림 / 혼성림: 침엽수와 낙엽수가 섞인 숲.

낙엽수림 / 낙엽림: 매년 다시 자라는, 주로 활엽수로 이루어진 숲.

열대림: 열대지방에서 수종이 매우 다양하고 울창한 숲. 열대지방의 강수량은 규칙적이고 풍부하다.

 

 

화산

간헐천: 뜨거운 물과 수증기를 간헐적으로 분출하는 온천.

분기공: 지표면의 균열된 부분. 화산가스가 규칙적으로 분출된다.

용암류: 화산에서 흘러내리는 용암 덩어리. 속도는 시간당 평균 300m이며, 온도는 1,200℃나 된다.

분화구: 가운데가 굴뚝 모양이며 용암이나 화산가스 등 화산 분출물이 분출되는 움푹한 곳.

화산재구름: 지름 2mm 이하의 입자로 이루어진 화산재. 마그마와 암석의 분쇄물로 이루어져 있다.

화산탄: 공중으로 높이 분출되어 굳은 마그마 덩어리. 크기가 매우 큰 것도 있다.

용암층: 용암이 식어 만들어진 화산암 층.

주화도: 용암과 화산 분츨물이 올라오는 통로.

부화도: 주화도에서 화산의 측면으로 갈라져 나오는 작은 분출물 통로.

화산재 층: 화산재와 용암이 이루는 층. 시간이 지나면서 화산을 형성한다.

병반: 지각을 뚫고 들어가서 굳은 마그마 덩어리. 지면의 변형을 초래한다.

마그마 굄: 마그마가 지면에 올라오기 전, 지하에 고여 있는 것.

마그마: 매우 높은 온도와 압력에 의해 녹아 있는 암석과 가스.

암맥: 지각을 뚫고 들어가서 잎맥의 형태로 굳은 마그마 덩어리. 지층에 종적(縱的) 또는 사선 모양으로 형성된다.

관입암상: 지각층 사이에서 굳은 마그마 층. 10m 정도의 두께에 길이는 수㎞이다.

 

 

침엽수

 

 

활엽수

 

산소

무덤(=묘지): 송장이나 유골을 땅에 묻어 놓은 곳. 흙으로 둥글게 쌓아 올리기도 하고 돌로 평평하게 만들기도 하는데, 대개 묘석을 세워 누구의 것인지 표시한다.

뫼(=묘): 사람의 무덤

산소(=묘소): 뫼를 높여 이르는 말. 

제수: 제사에 드는 여러 가지 재료 ex) 제수를 차리다. 제수를 장만하다. 제수를 갖추다. 

제물: 제사에 쓰는 음식물

봉분: 흙을 둥글게 쌓아 올려서 무덤을 만듦. 또는 그 무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