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화면해설방송작가
- 1월가치봄
- 화면해설작가
- 12월 CGV장애인영화
- 10월가치봄
- 배리어프리 영화
- 11월가치봄
- cgv 장애인영화
- 12월 화면해설영화
- 화면해설영화
- 12월가치봄
- 2월 CGV 장애인영화
- 5월 배리어프리영화
- 10월배리어프리
- 한시련
- 배리어프리
- 9월가치봄
- 화면해설
- 가치봄영화
- 5월 가치봄
- 배리어프리영화
- 2월 배리어프리
- 5월 배리어프리
- 1월 배리어프리
- 12월 배리어프리
- CGV장애인영화
- 3월 배리어프리
- 7월가치봄
- 화면해설방송
- 가치봄
- Today
- Total
목록Zinna (209)
보이지 않는 목소리 (화면해설작가)
화면해설방송과 배리어프리영화의 연출방법연구 -부산국제영화제 베리어프리영화 제작 중심으로- 나준기한국영상미디어협회예술과 미디어 12권 4호201317pages 초록화면해설방송과 배리어프리영화는 영상콘텐츠의 스토리 전달이 아닌 화면자체의 이해를 위해 장면의 해설과 편집 연출효과나 장면전환, 등장인물의 표정과 특징 및 제스처나 몸짓 등 대사 없이 처리되는 영상을 해설하여 시각 장애인을 위한 수신기를 통한 화면해설과 청각장애인을 위한 자막이 제공되어 해설소리와 자막으로 방송과 영화를 보고 느낄 수 있도록 하며, 장애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이함께 볼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화면해설은 궁극적으로 동작을 설명하고 이야기의 흐름과 풍경과 행동을 전달하는 것에 있다. 사투리나 지역적 특성이 드러나야 할 경우 너무 사투..
시각장애인을 위한 배리어프리영화의 국내 제작현황 및 표현양식 연구 -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 〈달팽이의 별〉을 중심으로 김혜원, 이지은영상문화콘텐츠연구 통권 제6집2013.1232 pages 초록장애인의 문화예술 참여는 복지적 관점을 넘어서 인권적 차원에서 다루어져야한다. 문화예술은 누구나 표현하고 향유할 수 있는 인간의 기본적 권리이기 때문이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배리어프리영화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해야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영화 관람을 위한 배리어프리영화에 대한 연구로서 장애인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문화예술 분야에서 시청각장애인들이 비장애인들과 동등하게 영화를 관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극장용 배리어프리영화의 개념정리를 비롯하여 배리어..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오관(五官) 감정 관용 표현의 사전 정보 연구 (2016. 8 중앙대학원 논문 중)
은행 행원 → 주임 → 계장 → 대리 → 과장 → 차장 → 부부장 → 파트장 → 팀장 → 부장 → 본부장 → 부행장 → 수석부행장 → 회장 일반대기업 인턴 → 사원 → 대리 → 과장 → 차장 → 부장/팀장 → 이사/상무보 → 상무 → 전무 → 부사장 → 사장 → 회장 외국계기업 Intern → Analyst → Associate → Manager → Principal/Vice President → Executive Director → Managing Director → Partner → Senior Partner → CEO 호텔 계약직사원 → 사원 → 슈퍼바이저 → 캡틴(주임,선임) → 매니저(총지배인) → 과장 → 차장 → 부장 대학 전임강사 → 조교수 → 부교수 → 정교수 → 고문/자문교수 → 부대표..
약자 IV - 링겔, 정맥주사 IM - 근육주사 CT - 단층촬영술 BP - 혈압 ER - 응급실 OP - 수술 OR - 수술실 ICU - 중환자실 (NICU 신생아 중환자실) IV폴대 - 링겔대 PCA - 자가통증조절기. 진통제 자동 투여 기계 CPR - 심폐소생술 EKG/ECG - 심전도 MRI - 자기공명영상 PTSD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ulse - 맥박 병명/시술림프절. 위절제술. 동맥. 정맥. 진행성 위암. 개복술. 대동맥삽관술. 혈관 촬영술. 기관지 삽관. 복강세척. 적출된 장기. 혈관. 복강. 수혈용 혈액. 어시스턴트(같이 수술하는 사람). 봉합. 어레스트(응급 심폐소생술이 요구되는 상태). 코마(혼수상태). 반발통(배를 눌렀다 뗄 때 환자가 아파하는 것). 압통. 다발성 늑골골절...
군대편제 소대: 30명선. 소대장은 소위 ... 중대: 150명선. 중대장은 중위 ㅣ 대대: 500명선. 대대장은 중령 ㅣㅣ 연대: 3천명선. 연대장은 대령 ㅣㅣㅣ 여단: 1만명선. 여단장은 준장 X 사단: 3만명선. 사단장은 투스타 소장 XX 군단: 5만명선. 군단장은 쓰리스타 중장 XXX 계급 병사계급(사병) - 이등병, 일병, 상병, 병장 직업군인 - 부사관/하사관(하사, 중사, 상사, 원사) - 장교(위관:소위, 중위, 대위/ 영관:소령, 중령, 대령/ 장군: 준장, 소장, 중장, 대장) ex) 장성급 참모 용어 PX - 군인들 편의점 FM - 야전교본 OP - 관측소 or 계급의 제일 위 CP - 지휘소 BEQ - 결혼 안한 하사관 숙소 BOQ - 결혼 안한 장교 숙소 GOP - 철책선 CPX ..
권총 - 자동권총: 방아쇠를 당기면 발사, 탄피배출, 장전이 자동으로 이뤄지는 권총. 정확히는 반자동권총이지만 자동권총이라고도 한다. 가늠자(=리어 사이트) : 조준할 때 쓰는 장치. 조준선 정렬 가늠쇠(=프론트 사이트) : 조준할 떄 쓰는 장치. 조준선 정렬 방아쇠울 : 방아쇠를 감싸고 보호하는 금속 부품. - 리볼버(좌): 회전실린더식 탄창을 사용하는 권총. 대구경사용이 가능하지만 소음가와 같은 부착물 장착은 불가능하거나 제한적. - 기관권총(우): 화력이 부족한 자동권총을 보완하여 만들었고, 주로 경호원이 사용. 기관단총류에 분류되기도 한다. * 경찰 38구경 리볼버 소지. 체포의 목적으로 총기류를 사용하기 때문에 살상력이 상대적으로 약하고, 잔고장이 적은 38구경을 사용한다. 기관단총 - 기관단총..
(2011.5.26) 출처: http://blog.daum.net/kcc1335/3504두루누리 기자 - 안지원 "2009년 4월 발효된 장애인 차별 금지법 제20조, 제21조 정보접근 및 의사소통에 대한 차별금지 조항에 따르면 공공기관 등은 생산·배포하는 웹사이트나 간행물 등에 대한 장애인들의 접근성을 보장해야 합니다. 행사를 주관·주최하는 경우도 7일 전에 장애인의 요청이 있다면 수화통역 등의 편의 지원을 해야 합니다. 또 방송업자는 폐쇄자막, 수화방송, 화면해설 등 장애인 시청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화면해설방송이란, 마치 무성 영화 시절에 변사가 장면을 해설해주듯 TV에 비춰지는 영상과 관련해 해설자의 설명을 부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시각장애인들의 이해를 돕는 방송형식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