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탄. 화면해설방송에 대한 이모저모
제가 궁금했던 점들을 알게 되면서 간단히 정리해봅니다. 각 미디어센터나 스튜디오, 업체, 작가들마다 다른 견해를 가질 수 있습니다. 종종 궁금한 점이 더 생기면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Q. 화면해설이 어렵나요?A. 창작 작가로서의 문장력에 욕심내거나 나만의 색깔을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대사와 소리 등의 영역을 최대한 침범하지 않으면서, 간결하면서도 효과적인 설명을 해야 합니다. 스포일러가 되어서는 안되며, 대사와 소리 사이사이 틈날 때마다 설명을 해주되, 듣는 사람이 숨돌릴 틈도 주어야 합니다. 덧붙여 성우의 호흡이나 스타일, 해설이 들어갈 타이밍을 초 단위로 고려하고, 연출 의도 파악은 물론, 나날이 발전하는 영상 기법이나 연출 방법에 대한 업그레이드도 게을리 해서는 안되죠. 자료조사도 해야 하고, ..
2탄. 한시련의 화면해설방송 제작 미디어 센터
초간단 연혁2000년 10월에 국내에 화면해설 개념을 첫 도입하여 장애인 영화제에서 첫 상영을 하였고, 2005년 1월 화면해설방송센터를 설립, 지상파 낮방송 허용을 추진하였으며,2014년 화면해설방송 제작 표준을 1차 발행하였습니다. 2016년 기준 공중파와 종편, 케이블 모두 통틀어 약 4,000여 편의 화면해설방송을 제작, 그 외에 뮤지컬, 미술품 묘사(2013년 갤러리북), 그림동화, 만화책 오디오북, 서울시 문화유산 등 다양한 장르에 도전해왔습니다. 화면해설방송 제작 구조화면해설방송작가는 기본적으로 프리랜서인데,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줄여서 한시련)의 작가 양성 과정을 수료하면,한시련 산하 56개의 단체 중 장애인방송접근센터(미디어접근센터)에 소속되게 됩니다.화면해설방송은 기본적으로 선천적 전맹 ..
한글 맞춤법 규정
제1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제2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제3항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제4항 한글 자모의 수는 스물넉 자로 하고, 그 순서와 이름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 제5항 한 단어 안에서 뚜렷한 까닭 없이 나는 된소리는 다음 음절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는다.제6항 ㄷ,ㅌ 받침 뒤에 종속적 관계를 가진 -이(-)나 -히-가 올 적에는, 그 ㄷ,ㅌ이 ㅈ,ㅊ으로 소리나더라도 ㄷ,ㅌ으로 적는다. 제7항 ㄷ소리로 나는 받침 중에서 ㄷ으로 적을 근거가 없는 것은 ㅅ으로 적는다.제8항 계,례,몌,폐,혜의 ㅖ는 ㅔ로 소리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예로 적는다.제9항 의나,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소리나는 경..